대동, 중·고마력대 트랙터 중심 포트폴리오로 튀르키예 핵심 집중 공략

  • 3년 내 튀르키예 시장 점유율 5% 목표

  • 로드쇼, 트랙터 130여 대의 현장 주문 확보

대동은 튀르키예 주요 농업 지역을 순회하며 자사 트랙터 제품을 전시·시연하는 ‘카이오티 로드쇼 2025’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사진대동
대동은 튀르키예 주요 농업 지역을 순회하며, 자사 트랙터 제품을 전시·시연하는 ‘카이오티 로드쇼 2025’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사진=대동]

대동은 미래농업 선도기업으로 튀르키예 주요 농업 지역을 순회하며, 자사 트랙터 제품을 전시·시연하는 ‘카이오티 로드쇼 2025’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로드쇼는 대동 트랙터의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을 현지 시장에 효과적으로 알리고, 소비자와의 접점을 한층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마케팅 활동으로 기획됐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 앙카라와 콘야 두 도시에서 이틀간 진행했던 첫 로드쇼 보다 규모를 확대했다. 지난 19일부터 26일까지 8일 간 사카리아(Sakarya)를 시작으로 시바스(Sivas), 토카트(Tokat), 삼순(Samsun) 등 4개 도시를 순회했다. 총 방문객은 약 6000명으로 전년 대비 10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이번 로드쇼에서 총 10종의 주력 트랙터를 선보인 대동은 60~140마력에 해당하는 중·고마력대에만 8종을 배치해 라인업을 구성했다.
 
튀르키예는 다목적 농작업에 적합한 중형 이상 마력대의 선호도가 높고, 정부의 곡물 생산 장려 정책 및 보조금 확대에 따라, 100마력 전후 모델에 대한 시장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로드쇼를 진행한 4개 도시도 중대형 트랙터 수요가 높은 지역이며, 대동의 신규 딜러가 영입된 지역이기도 하다. 대동은 이번 로드쇼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해당 세그먼트에서의 기술적 우위와 제품 다양성을 강조했다.
 
대동은 튀르키예 주요 농업 지역을 순회하며 자사 트랙터 제품을 전시·시연하는 ‘카이오티 로드쇼 2025’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사진대동
대동은 튀르키예 주요 농업 지역을 순회하며, 자사 트랙터 제품을 전시·시연하는 ‘카이오티 로드쇼 2025’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사진=대동]
 
특히 라인업 중 프리미엄 트랙터인 HX 시리즈를 90마력부터 140마력까지 10마력 단위로 촘촘히 구성해 고출력 라인의 포트폴리오 완성도를 부각했다. 이 중 가장 높은 등급의 두 모델은 캐빈 서스펜션(Cabin Suspension)을 기본 적용한 신제품으로, 탁월한 승차감과 운전 편의성을 바탕으로 현지 고객들에게 높은 호응을 얻었다. 또한 강한 토크와 견인력도 호평을 받았다.
 
현장에서는 시승 뿐 아니라 로터베이터, 쟁기 등 다양한 작업기를 장착한 실작업 시연도 함께 진행했다. 실제 작업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내구성, 작업 효율성, 조작성 등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해 제품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 이를 기반으로 로드쇼 기간 동안 트랙터 130여 대의 현장 주문을 확보하는 비즈니스 성과도 창출했다.
 
대동은 2023년 말 튀르키예 농기계 전문 유통기업 아랄(Aral) 그룹과 3500억원 규모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현지 사업 확대를 본격화했다. 2024년에는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및 판매 기반 마련에 주력했고, 2025년부터는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실행 중이다.
 
튀르키예 4대 농기계 전시회 참가 및 3차 카이오티 로드쇼 개최 등 현지 마케팅도 지속적으로 강화할 예정이다. 올해 튀르키예에서 150억원 매출이 예상되며, 내년에는 200억원 달성을 목표한다. 3년 내 튀르키예 트랙터 시장 점유율 5%를 달성해 안정적인 사업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강덕웅 대동 해외사업부문장은 "이번 로드쇼를 통해 얻은 현장 경험과 시장 반응은 향후 제품 현지화, 서비스 운영, 브랜드 차별화 전략에 있어 중요한 기준점이 될 것이다"며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농기계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지역 특성과 고객 요구에 기반한 정밀한 사업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튀르키예는 연간 약 6만 대의 트랙터 판매가 이뤄지는 세계 4위 농기계 시장이다. 현재 약 24개 이상의 트랙터 제조사가 경쟁 중이며, 품질 및 가격 경쟁력, 브랜드 차별화가 성공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