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근로장려세제(EITC)에 따른 연금 급여 증가가 노후 빈곤을 완화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는 한국은행 분석이 나왔다. 근로장려세제는 노동 소득이 있는 저소득 가구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인데, 이 제도를 도입하면 현재 소득이 늘어날 뿐 아니라 미래 연금도 증가하게 된다.
한은은 30일 보고서에서 생애주기 모형을 이용해 근로장려세제의 장기 효과를 분석한 결과 근로장려세제의 장기 효과 중 연금 급여 증가에 따른 비중이 5분의1에서 3분의1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했다.
근로장려세제 덕분에 장기적으로 생애 가처분 소득, 생애 소비, 후생 수준 등이 개선되는데, 그중 연금 급여 증가에 따른 영향이 각 29%, 36%, 22%로 분석됐다는 것이다.
한은은 "근로장려세제에 따른 노동 공급이나 소비·저축은 연금 급여 증가까지 고려해 의사결정을 내릴 때 더 커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동시장 참여와 연금 급여 간의 관계에 대한 저소득층의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제도의 장기 효과를 높이는 데도 상당히 효과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은은 30일 보고서에서 생애주기 모형을 이용해 근로장려세제의 장기 효과를 분석한 결과 근로장려세제의 장기 효과 중 연금 급여 증가에 따른 비중이 5분의1에서 3분의1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했다.
근로장려세제 덕분에 장기적으로 생애 가처분 소득, 생애 소비, 후생 수준 등이 개선되는데, 그중 연금 급여 증가에 따른 영향이 각 29%, 36%, 22%로 분석됐다는 것이다.
한은은 "근로장려세제에 따른 노동 공급이나 소비·저축은 연금 급여 증가까지 고려해 의사결정을 내릴 때 더 커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동시장 참여와 연금 급여 간의 관계에 대한 저소득층의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제도의 장기 효과를 높이는 데도 상당히 효과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