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시가총액 첫 4조5000억달러 돌파…AI 인프라 투자 훈풍

  • 코어위브, 메타와 142억달러 규모 컴퓨팅 계약 체결

엔비디아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엔비디아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둘러싼 대규모 투자 계약이 잇따르면서 엔비디아 시가총액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4조5000억 달러(약 6300조원)를 돌파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전장 대비 2.6% 오른 186.58달러에 마감하며 최고가를 경신했다.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4조5420억 달러로, 처음으로 4조5000억 달러 선을 돌파했다. AI 칩 수요 확대 기대감과 글로벌 기업들의 대형 데이터센터 구축 소식이 잇따른 것이 주가를 끌어올렸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데이터센터 운영업체 코어위브는 이날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메타)과 최대 142억 달러(약 20조원) 규모의 컴퓨팅 파워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코어위브는 공시에서 이번 계약이 2031년 12월까지 유효하며, 추가 용량 확보 시 2032년까지 연장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메타와의 대규모 계약 소식에 코어위브 주가는 이날 11.7% 급등했다.

마이클 인트레이터 최고경영자(CEO)는 "메타가 이전 계약에서 우리의 인프라를 매우 높이 평가했고, 이번에 더 많은 공급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계약에 따라 코어위브가 메타에 엔비디아의 최신 GB300 시스템 접근 권한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메타 측은 이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코어위브는 AI 모델 학습과 대규모 연산에 필수적인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탑재된 데이터센터를 구축·임대해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이다.

이번 계약은 코어위브가 오픈AI(OpenAI)와 데이터센터 용량 공급 계약을 확대한 지 5일 만에 체결된 것이다. 코어위브는 지난 25일 오픈AI에 대한 데이터센터 공급 계약을 최대 65억달러 규모로 확대하면서 총 계약 규모를 최대 224억달러로 끌어올린 바 있다.

메타와의 이번 계약을 통해 코어위브는 고객을 한층 다양화할 수 있게 됐다. 지금까지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최대 고객으로, 6월 말 기준 회계분기에서 매출의 71%를 차지했다.

인트레이터 CEO는 "기업공개(IPO) 당시 고객 집중도가 너무 높다는 지적을 받았지만, 이번 계약은 명백히 사업 다각화를 위한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 한 걸음"이라고 말했다.

메타는 빠르게 전개되는 AI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에너지·컴퓨팅 파워·인재 확보에 막대한 투자를 이어가며 AI 인프라 부문에서 최대 투자자 중 하나로 부상했다.

메타는 치열한 AI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에너지·컴퓨팅 자원·인재 확보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CEO는 지난 4월 "올해 자본지출(CAPEX)이 최대 720억달러에 이를 수 있으며, 그중 상당 부분을 AI와 모델 학습·운영에 필요한 데이터센터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