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정부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일 공식 출범했다.
초대 기후부 장관으로 취임한 김성환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진정한 기후위기 대응 컨트롤타워로서 명확한 탈탄소 전환 로드맵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은 탄소문명을 종식시키고 재생에너지 중심의 탈탄소 녹색문명으로 대전환하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했다.
그는 "그동안 기후정책 총괄 기능은 환경부에 있었고 감축 수단은 산업부에 있다 보니 실질적인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웠다"며 "기획과 실행을 한 부처에서 하게 된 만큼 전력, 산업, 수송, 건물, 생활 전 분야에서 탈탄소 녹색 대전환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또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에너지 체계를 대전환하겠다"며 "현재 누적 기준 34GW 수준인 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가능한 100GW 수준으로 대폭 늘리겠다"고 선언했다.
이어 "늘어난 재생에너지는 햇빛·바람·마을 연금 형식으로 국민에게 소득이 돌아갈 수 있게 하겠다"면서 "재생에너지 중심 지능형 전력망으로 대전환해 이른바 '에너지 고속도로'를 확실하게 건설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는 유상할당 비중을 확대하고 증가할 할당 수입금을 기업 탈탄소 전환에 재투자해 감축 노력이 기업의 이익으로 직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탄소중립 산업'을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키우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김 장관은 "태양광, 풍력, 전기차, 배터리, 히트펌프, 가상발전소 등 탄소중립산업 부문에서도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
산업부 에너지 부문 중 자원 담당을 제외한 부분이 환경부로 이관되면서 만들어진 기후부는 '2차관, 4실, 4국·14관, 63과'로 구성됐다. 1차관 산하에 기획조정실과 물관리정책실이, 2차관 산하에는 기후에너지정책실과 에너지전환정책실이 설치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