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연간 1조원대 경제효과…서울 최대·대구 취업효과 두드러져

  • 연간 생산유발효과 1조1121억원…취업효과도 9500여명

  • 현경연 "불황에도 꾸준한 생활형 여가…정책적 육성 필요"

지난달 20일 서울 송파구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무적LG그램데이 브랜드존에서 LG트윈스 팬들이 깃발 부채 등 LG트윈스 응원 도구를 받고 있다 사진LG전자 한국영업본부
지난달 20일 서울 송파구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무적LG그램데이' 브랜드존에서 LG트윈스 팬들이 깃발, 부채 등 LG트윈스 응원 도구를 받고 있다. [사진=LG전자 한국영업본부]
프로야구 소비 지출이 연간 1조원이 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낳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역 경제 활성화뿐 아니라 국가적 성장 동력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5일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프로야구 소비 지출이 전국적으로 약 1조1121억원의 생산유발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내 경제효과를 전국 단위로 합산하면 생산유발액은 7143억원, 부가가치유발액은 3094억원, 취업유발 인원은 7254명으로 집계됐다. 다른 지역으로의 파급 효과는 생산유발액 3978억원, 부가가치유발액 1559억원, 취업유발 인원 2315명으로 추산됐다.

지역별로 보면 지역 내 경제적 파급효과가 가장 큰 곳은 3개 구단이 속한 서울로 나타났다. 부산은 단일 구단을 보유하고도 지역 내 파급효과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대구는 소비지출액 대비 취업유발 효과가 가장 두드러졌고, 인천은 소비지출액 대비 생산·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가장 작았다.

광주는 단일 구단을 보유한 지역 중 지역 내 파급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대전의 지역 내 파급효과는 여타 지역과 비교하면 작은 규모지만, 대전의 경제 규모를 고려하면 비교적 큰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는 소비지출액 대비 생산·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컸으나 소비 규모가 적어 전체 효과는 가장 작았다. 경남은 소비지출액 대비 부가가치유발효과 및 취업유발효과는 비교적 큰 편이나, 소비지출 규모가 작아 지역 내 파급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현경연은 "프로야구는 활성화 효과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경제 활력 제고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를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며 "미국·일본과 같이 경제의 새로운 동력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프로야구는 불황에도 꾸준히 선택되는 생활형 여가 활동인 만큼 문화정책 설계 시 국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여가 자산을 확대·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