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부산에서 열릴 예정인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가 1년도 남지 않았지만, 주최 기관인 국가유산청이 단 한 푼의 예산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국가유산청이 예비비 편성 등 국가 차원의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1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정연욱 국민의힘 의원은 "유산청이 '7월부터 예산 편성에 착수하겠다'고 계획해 놓고 실제로는 예산을 전혀 마련하지 않았다"며 "유치만 하고 손을 놓은 채 부산시에 비용을 떠넘기는 무책임한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지난해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내년 7월 개최 예정인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의 개최국은 한국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선정 절차를 거쳐 개최 도시로 확정된 부산에서 내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총회가 개최된다.
특히 국가유산청은 올해 사용할 예산이 없다는 이유로 국내외 홍보, 선언문 준비를 위한 연구 용역 비용 등 회의 준비의 핵심 사업비를 모두 부산시에 전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는 회의 성공을 위해 자체 추경을 편성하며 준비를 이어가고 있다고 정 의원은 설명했다.
그는 "예산이 확정돼도 집행 가능한 시점은 2026년 1~2월로 예상되는데 유네스코 실사단은 내년 1월과 4월 두 차례 방문 예정"이라며 "예산 한 푼 없이 실사단을 맞을 것인지, 실사를 부산시 돈으로 버틸 것이냐"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회의 준비를 총괄해야 할 '준비 기획단' 역시 7월 출범 예정이었지만, 두달이 넘도록 구성되지 않고 있다. 기본 계획 수립과 유네스코 협의 등 선행 절차가 사실상 멈춰 있는 상태인 것이다. 그는 이어 "국가 행사에 지자체가 임시 예산을 선집행하는 구조는 비정상"이라며 "주최 기관인 국가유산청이 예비비 편성이나 긴급 전용 등 국가 차원의 대응책을 즉시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