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국내 4대 그룹 총수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자택이 있는 플로리다에서 '필드 외교'에 나섰다. 마러라고 회동은 철저히 베일에 가려져 있지만 한·미 정부가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인 가운데 이뤄진 만큼 골프장에 머문 약 7시간 35분 동안 우리나라 주요 그룹 총수들과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관세 정책과 대미 투자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9일 재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플로리다 마러라고에서 우리나라, 일본, 대만 등 아시아 국가 주요 기업인들과 골프 회동을 했다. 백악관 풀 기자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7분쯤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출발해 9시 15분쯤 트럼프 인터내셔널 골프클럽에 도착했으며 4시 59분쯤 마러라고 리조트에 복귀했다. 대략 7시간 35분 동안 골프 회동이 이뤄진 것이다.
우리나라에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회장 초청으로 회동에 참석했다. 재계에서는 통상 4인 1조로 진행되는 아마추어 골프 경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누구와 한 조를 이뤘는지 주목하고 있다. 국내 총수들을 초청한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과 이 회장이 트럼프 대통령과 같은 조로 정해졌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국정농단 사태 이후 한동안 골프를 끊었던 이 회장은 이번 회동을 계기로 다시 골프채를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미국에 대규모 반도체 공장을 가동·건설 중인 만큼 관련 대화가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 정의선 회장도 적극적으로 트럼프 대통령 설득에 나섰을 것으로 추측된다. 자동차 품목 관세 인하가 지연되면서 타격이 큰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의 주축인 김동관 부회장, 구광모 회장과도 협력 방안을 논의했을 것으로 보인다.
재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과 한국 총수들이 모두 동반 라운딩을 하지 않았더라도 국내 총수들이 경기 전후 또는 점심시간이나 휴식시간 등에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했을 가능성이 크다"며 "대미 투자 및 관세 등 다양한 의견이 오갔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미 양국이 직접 투자 규모뿐만 아니라 투자처를 두고도 이견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총수들의 필드 외교에서 투자처 가닥이 잡혔을 가능성도 크다. 특히 한국 조선업이 협상 테이블에서 주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앞서 워싱턴DC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을 찾은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마스가에 대해 여러 가지 건설적인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미국에서도 조선업 재건 등을 위해 한국과 협력하는 것이 필수라는 주장이 나온다. 마이클 로버츠 미국 허드슨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최근 기고문을 통해 조선업과 관련해 "동맹국과 심층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한국의 조선 기술력은 미국의 해양 역량 회복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19일 재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플로리다 마러라고에서 우리나라, 일본, 대만 등 아시아 국가 주요 기업인들과 골프 회동을 했다. 백악관 풀 기자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7분쯤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출발해 9시 15분쯤 트럼프 인터내셔널 골프클럽에 도착했으며 4시 59분쯤 마러라고 리조트에 복귀했다. 대략 7시간 35분 동안 골프 회동이 이뤄진 것이다.
우리나라에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회장 초청으로 회동에 참석했다. 재계에서는 통상 4인 1조로 진행되는 아마추어 골프 경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누구와 한 조를 이뤘는지 주목하고 있다. 국내 총수들을 초청한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과 이 회장이 트럼프 대통령과 같은 조로 정해졌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국정농단 사태 이후 한동안 골프를 끊었던 이 회장은 이번 회동을 계기로 다시 골프채를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미국에 대규모 반도체 공장을 가동·건설 중인 만큼 관련 대화가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 정의선 회장도 적극적으로 트럼프 대통령 설득에 나섰을 것으로 추측된다. 자동차 품목 관세 인하가 지연되면서 타격이 큰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의 주축인 김동관 부회장, 구광모 회장과도 협력 방안을 논의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미 양국이 직접 투자 규모뿐만 아니라 투자처를 두고도 이견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총수들의 필드 외교에서 투자처 가닥이 잡혔을 가능성도 크다. 특히 한국 조선업이 협상 테이블에서 주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앞서 워싱턴DC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을 찾은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마스가에 대해 여러 가지 건설적인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미국에서도 조선업 재건 등을 위해 한국과 협력하는 것이 필수라는 주장이 나온다. 마이클 로버츠 미국 허드슨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최근 기고문을 통해 조선업과 관련해 "동맹국과 심층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한국의 조선 기술력은 미국의 해양 역량 회복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