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과 22일 대구 엑스코에서 '자율주행 서비스의 미래와 현실'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2025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엑스포(DIFA)' 첫날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행사는 주제 발표와 패널 토론, 질의응답 순으로 이어졌다. 첫 번째 발제에 나선 유민상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상무는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인공지능이 주행 전 과정을 학습하는 '엔드투엔드(End-to-End·E2E)' 방식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율주행 E2E는 단일 인공지능이 차량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자율주행을 유도하는 시스템을 뜻한다. 처음부터 끝까지 인공지능이 판단한다는 점에서 기존 자율주행 시장을 선점한 룰베이스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테슬라 등 일부 완성차 업체는 E2E 방식을 채택해 상용화에 나서고 있다.
미국과 중국이 택시 민간 자율주행 서비스를 선보이는 가운데 한국은 공공 영역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모델을 넓혀가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서울의 새벽동행버스, 하동군 농촌형 버스 등은 교통약자와 고령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유 상무는 "AI 기술은 단계적으로 진화해야 한다"며 "버스에서 택시로 이어지는 점진적 상용화가 한국형 모델의 방향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자율주행 주차로봇과 스마트 주차장을 주제로 두 번째 발표를 맡은 허재호 HL로보틱스 팀장은 "자율주행 주차로봇은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도시 공간의 효율성과 이동 편의성을 동시에 높이는 새로운 모빌리티 인프라"라고 소개했다. 그는 "주차 공간 부족과 교통 혼잡, 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수단으로 주차 로봇이 주목받고 있다"며 "향후 스마트시티와 연계한 통합 주차 생태계를 조성해 도시 모빌리티 시장의 새로운 축으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패널 토론에선 장정아 아주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고 이성훈 국토교통부 자율주행정책과 서기관, 김제석 퓨처드라이브 대표, 오종훈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고문(오토다이어리 대표)이 참여해 자율주행 산업의 현황과 과제를 논의했다.
한편,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2010년 창립된 단체로, 신문·방송·통신·온라인 등 59개 매체의 기자 200여 명이 활동하고 있다. 협회는 '올해의 차(K-COTY)' 선정, 산업 현안 심포지엄, 테크 투어 등을 통해 올바른 자동차 문화 확산과 기자 역량 향상에 힘쓰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