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기념식에는 이 회장을 비롯해 박형준 부산시장,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 무랏 타메르 재한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 의장 등 외교사절, 보훈단체, 군 장병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이 회장은 "6·25전쟁은 유엔군 60개국이 유엔 창설 이후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참전한 전쟁"이라며 "유엔군의 희생 덕분에 오늘날 세계 경제 10위권의 우리가 존재할 수 있었던 만큼, 동방예의지국의 면모를 갖춰 유엔군 헌신에 대해 감사함을 잊지 않는 마음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엔데이는 유엔이 창설·발족한 1945년 10월 24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로, 한국에서는 1950년부터 1975년까지 법정 공휴일이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1976년 북한이 유엔 산하 기구에 가입하자 이에 대한 항의 표시로 그해 공휴일에서 제외했다.
이 같은 노력으로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하면서 지난 8월에는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매년 10월 24일을 공휴일인 ‘유엔의 날’로 지정하는 '공휴일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1
0 / 300
-
sib**** 2025-10-25 02:26:2475년전 유엔의 도움이 없었다면 오늘의 대한민국은 존재하지 않는다. 고귀한 생명을 바친 그분들은 누군가의 자랑스런 아들, 누군가의 사랑하는 남편, 누군가의 보고싶은 아버지 였다. 개인이 이런 은혜를 입었다면 대대손손 보답할 것이다. 국가도 마땅히 그래야 한다. 그 후손에게 감사를 전하고 보답해야 한다. 문명국이라면 당연한 일이다. 유엔데이 재지정은 그 출발일 것이다. 마땅히 정부가 해야할 일은 이중근회장께서 사회의 어른으로서 대신하는 것이다. 감사드린다. 반드시 재지정되어 젊은 세대들이 기억해야 한다.
추천 기사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