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뉴 스페이스 시대' 연다…우주산업 발전협의체 출범

  • 국내 우주기업 32%·매출 33%·인력 25% 서울 집중

  • 시 "민간 주도 혁신 생태계 구축...'우주경제 도시 서울' 도약 추진"

구로구 고척동에 조성 예정인 서울 테크스페이스 조감도 사진서울시
구로구 고척동에 조성 예정인 '서울 테크스페이스' 조감도.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뉴스페이스(New Space)'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 기반의 도시형 우주산업 육성에 본격 나선다.

서울시는 28일 민간기업과 학계·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우주산업 발전협의체'를 출범하고, 서울형 도시 기반 우주산업 전략 논의에 들어갔다. 

시는 이번 협의체 출범을 통해 우주산업을 미래 핵심 성장동력으로 공식 편입하고, 오는 2030년까지 단계별 실행계획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국내 우주산업 기업 469개 중 150개(32%)가 서울에 집중돼 있으며, 이들 기업의 매출은 전체의 33%(1조704억원), 인력은 25%(2030명)를 차지한다. 서울 소재 우주기업(150개)의 71%는 위성데이터를 활용하고 있어, 제조·발사 중심이 아닌 AI·빅데이터·클라우드 기반의 응용 분야에 집중돼 있다.

시는 구로구 고척동에 조성 예정인 '서울창업허브 구로'를 첨단제조·창업지원 기능을 결합한 '서울 테크 스페이스'로 확대 조성할 계획이다. 지하 3층~지상 8층 규모(연면적 1만5110㎡)의 이 시설은 2030년 개관을 목표로, 서울 서남권 첨단산업의 혁신거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해당 공간에는 우주산업을 포함한 첨단기술 기업의 연구개발부터 시제품 제작, 검증, 사업화까지 전주기 지원이 가능한 복합 혁신공간으로 운영된다.
 
28일 서울시청 서소문2청사에서 열린 ‘서울시 우주산업 발전협의체’ 출범식 및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28일 서울시청 서소문2청사에서 열린 ‘서울시 우주산업 발전협의체’ 출범식 및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또한 시는 우주산업 진입을 촉진하기 위해 '융합컨설팅', '서울형 R&D 사업화', '첨단 우주제품 검증 지원' 등을 추진한다. 특히 AI·바이오·로봇 등 기존 비(非)우주 산업이 우주 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기술상담, 융합 R&D 매칭, 발주처 연계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해 '우주산업화의 첨단산업화, 첨단산업의 우주산업화'를 동시에 촉진한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시는 54개 대학과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서울의 특성을 활용해, 산업현장 수요에 맞춘 실무형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우주기업과 인재 매칭을 통해 전문인력 공급체계를 마련한다. 또한 산·학·연·관이 참여하는 '서울시 우주산업 발전협의체'를 정기 운영해 정책 자문과 기술교류를 강화하고, 포럼과 세미나를 통해 개방형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서울은 국내 주요 대학과 연구기관, 혁신기업이 집적된 도시로, 우수한 인재와 첨단 기술역량을 기반으로 데이터 기반 도시형 우주산업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크다"며 "앞으로 산학연과의 협의체 운영을 통해 데이터·서비스 중심의 민간 주도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기업과 인재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우주경제 도시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