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연 "한·미 협상 낙관도 비관도 할 수 없어…원칙은 '국익'"

  • "북·미 정상회담 확실한 징후 알지 못해"

이규연 홍보소통수석이 1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동남아 불법 구인 광고 긴급 삭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규연 홍보소통수석이 1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동남아 불법 구인 광고 긴급 삭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이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관세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에 대해 “(대통령실) 공식 입장은 여전히 낙관도, 비관도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수석은 29일 오전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대통령실에서는 타결 가능성이 있다, 없다 그런 이야기를 한 적이 없다. 특정 시점을 놓고 그때까지 타결할 거냐, 안 할 거냐 이런 이야기를 평가할 수는 있지만, 관세 협상 타결에 (공식적인) 논평을 낸 적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날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경주박물관에서 개최할 정상회담을 계기로 관세 협상이 타결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실제 대통령실 또한 협상 타결에 데드라인을 정하지 않았지만,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간 성사된 정상회담을 1차 목표로 설정한 바 있다. 이에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등은 APEC 개최 전 미국을 찾아 막판 실무 협상에 나서기도 했다.
 
하지만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펀드의 성격 등을 두고 양국이 이견을 좁히지 못한 탓에 이번 정상회담에서 관세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은 낮게 평가된다.

따라서 대통령실도 ‘시간’보다 ‘국익’을 중심으로 협상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 수석은 “기본적인 원칙은 국익 중심이다. 이 원칙을 분명히 고수하고 있다”면서 협상 장기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정상회담에서 대미 투자 펀드의 이견이 해소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저희가 가지고 있는 가이드라인이나 국익에 대한 기준은 분명하다. 그 부분에 들어온다면 당연히 가능성이 남아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이 수석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심사인 북·미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현재까지 (북·미 정상회담의) 확실한 징후나 움직임을 알지 못한다”면서 “사실 지금쯤 저렇게 움직임이 없으면 일반적으로는 없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도 이 수석은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를 목표로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된다면 정부 또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