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9일 "올해 성장률이 0.9%(한은 8월 전망치)가 아니라 1% 이상일 가능성이 커졌다"고 밝혔다.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종합감사에 출석한 이 총재는 3분기 경제 성장률(1.2%)과 전망 관련 질문에 "(3분기) 소비쿠폰 효과도 있었고 수출도 좋았다"며 "4분기는 지켜봐야 한다"고 답했다.
이 총재는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이 향후 경제성장의 모멘텀이 될 수 있느냐'는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대해서도 "1.2%의 성장은 저희가 생각했던 1.1%보다 높아서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 총재는 "걱정되는 것은 설비투자가 많이 늘었는데 설비투자가 반도체 등 품목별로 집중돼 있다"며 "민간소비가 소비쿠폰으로 증가했는데 이것이 계속될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한·미 관세협상 결과에 따라 수출 모멘텀이 어떻게 되는지를 봐서 4분기 성장률을 한 번 더 봐야 (성장) 지속 여부를 좀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 총재는 "1% 넘는 성장이 되더라도 잠재성장률보다는 낮기 때문에 여러 가지 구조조정이 일어나야 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폐지 관련 질의에는 "개별 주장에 대해 말씀드리는 것은 부적절하다"면서도 "정책이 계속해서 지속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시장의 해법으로 공급과 함께 수도권 집중 문제가 동시에 해결돼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는 입장도 보였다. 이 총재는 "공급과 함께 그것(수도권 집중 문제 해결)을 수반하지 않으면 공급 정책의 효과가 없을 것 같다"고 했다.
부동산 문제 해결을 위한 지방 균형발전 추진에 대해선 "너무 많은 곳에 내려 분산을 하게 되면 효과가 없다"며 "지방 분산을 하더라도 집중해서 해야 한다는 것이 저의 생각"이라고 부연했다.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종합감사에 출석한 이 총재는 3분기 경제 성장률(1.2%)과 전망 관련 질문에 "(3분기) 소비쿠폰 효과도 있었고 수출도 좋았다"며 "4분기는 지켜봐야 한다"고 답했다.
이 총재는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이 향후 경제성장의 모멘텀이 될 수 있느냐'는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대해서도 "1.2%의 성장은 저희가 생각했던 1.1%보다 높아서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 총재는 "걱정되는 것은 설비투자가 많이 늘었는데 설비투자가 반도체 등 품목별로 집중돼 있다"며 "민간소비가 소비쿠폰으로 증가했는데 이것이 계속될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1% 넘는 성장이 되더라도 잠재성장률보다는 낮기 때문에 여러 가지 구조조정이 일어나야 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폐지 관련 질의에는 "개별 주장에 대해 말씀드리는 것은 부적절하다"면서도 "정책이 계속해서 지속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시장의 해법으로 공급과 함께 수도권 집중 문제가 동시에 해결돼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는 입장도 보였다. 이 총재는 "공급과 함께 그것(수도권 집중 문제 해결)을 수반하지 않으면 공급 정책의 효과가 없을 것 같다"고 했다.
부동산 문제 해결을 위한 지방 균형발전 추진에 대해선 "너무 많은 곳에 내려 분산을 하게 되면 효과가 없다"며 "지방 분산을 하더라도 집중해서 해야 한다는 것이 저의 생각"이라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