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2회 연속 금리 인하…12월 금리인하 가능성엔 '신중'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2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연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2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연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내렸다. 지난 달에 이어 2회 연속 0.25p 인하했다. 

연준은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기존 4.00~4.25%에서 3.75~4.00%로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연준은 "올해 들어 고용 증가세는 둔화됐으며, 실업률은 다소 상승했지만 8월까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면서 "보다 최근에 나온 지표들도 이러한 흐름과 일치한다"는 FOMC 발표문을 공개했다. 이어 "최근 몇 달간 고용 하방의 위험이 커졌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연준은 "인플레이션은 올해 초보다 상승했고,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물가 수준은 여전히 높은 편이라고 진단했다. 

이날 결정에 12명의 FOMC 위원 중 10명이 찬성 의견을 던졌다. 반면 '트럼프의 경제 책사'로 불리는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는 빅컷(0.5%p 인하)를 주장했고,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는 금리 동결을 주장했다. 

2연속 금리 인하를 단행한 연준이 올해 마지막으로 열리는 12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또 내릴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번 회의에서 12월 회의 때 어떻게 대응할지를 두고 강한 의견 차가 있었다"며 "12월에 금리를 추가로 인하하는 것은 기정사실이 아니다. 정책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달 연준이 올해 말 기준금리 예상치의 중간값을 3.6%로 제시해 12월 인하 가능성이 예상됐으나, 파월 의장이 선을 그은 것이다. 

아울러 연준은 2022년 6월부터 재개한 양적긴축(QT·대차대조표 축소)을 오는 12월 1일부터 종료한다고 전했다. 양적긴축이란 연준이 보유한 채권을 매각하거나, 만기 후 재투자하지 않는 식으로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방식이다. 중앙은행이 채권을 사들이면서 시중에 통화를 공급하는 양적완화(QE)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