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내렸다. 지난 달에 이어 2회 연속 0.25p 인하했다.
연준은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기존 4.00~4.25%에서 3.75~4.00%로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연준은 "올해 들어 고용 증가세는 둔화됐으며, 실업률은 다소 상승했지만 8월까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면서 "보다 최근에 나온 지표들도 이러한 흐름과 일치한다"는 FOMC 발표문을 공개했다. 이어 "최근 몇 달간 고용 하방의 위험이 커졌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연준은 "인플레이션은 올해 초보다 상승했고,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물가 수준은 여전히 높은 편이라고 진단했다.
2연속 금리 인하를 단행한 연준이 올해 마지막으로 열리는 12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또 내릴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번 회의에서 12월 회의 때 어떻게 대응할지를 두고 강한 의견 차가 있었다"며 "12월에 금리를 추가로 인하하는 것은 기정사실이 아니다. 정책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달 연준이 올해 말 기준금리 예상치의 중간값을 3.6%로 제시해 12월 인하 가능성이 예상됐으나, 파월 의장이 선을 그은 것이다.
아울러 연준은 2022년 6월부터 재개한 양적긴축(QT·대차대조표 축소)을 오는 12월 1일부터 종료한다고 전했다. 양적긴축이란 연준이 보유한 채권을 매각하거나, 만기 후 재투자하지 않는 식으로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방식이다. 중앙은행이 채권을 사들이면서 시중에 통화를 공급하는 양적완화(QE)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