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이 빠르게 확장하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위한 전력 공급을 위해 정부와 산업계가 함께 협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재원 부회장은 31일 경북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에서 '아시아 태평양 LNG 커넥트' 세션의 기조연설자로 나서며 "AI 데이터센터에서 쓰일 전력이 적기에 공급되기 위해서는 천연가스와 LNG가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날 세션은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 추형욱 SK이노베이션 대표이사 등이 참석해 SK그룹 차원의 글로벌 에너지 협력 의지를 직접 전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태계 구축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최 부회장은 "세션에 참석하기에 앞서 챗GPT에 'AI 산업에서 가장 필요한 게 무엇인지'를 물었다"면서 "당연히 데이터센터라고 했고, 실질적인 정상 가동을 위해선 전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답했다"고 했다.
그는 "오는 2030년 미국 내 데이터센터가 빨아들이는 전력 소비량은 전 세계 전력 소비량의 4%로 이는 미국 내 모든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규모"라며 "향후엔 미국의 전력 인프라 확장 수요가 아시아·태평양 전역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최 부회장은 "그 많은 전력을 감당하기엔 원자력·태양열·풍력으론 역부족"이라며 "AI 시대의 핵심 에너지 파트너는 LNG"라고 강조했다. 빈번히 공급 차질을 빚는 다른 에너지원과 달리 LNG는 지속 가능한 수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다.
하지만 LNG 인프라 확장은 단일 국가나 단일 기업이 노력만으로 이룰 수 없다는 게 최 부회장의 진단이다. 그는 "미국의 셰일가스 인프라로 전 세계가 안정적인 에너지원을 누리는 것처럼 미래 LNG 인프라 또한 정부와 기업 나아가 아태 전역이 허물없이 나서야 할 때"라고 했다.
실제 SK이노베이션은 이른바 미국의 제1차 LNG 물결 때부터 장기 계약 파트너 참여해 왔다. 덕분에 일찌감치 미국 LNG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LNG 포트폴리오에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세션 패널로 참석한 추형욱 SK이노베이션 대표이사는 "당시 미국의 LNG는 다른 글로벌 유가보다 상대적으로 관심도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매력적인 에너지 선택지였다"면서 "실제 지정학적 리스크가 낮고 운송 계약조건이 굉장히 유연했다"며 10년 전 프로젝트 추진 당시를 떠올렸다.
이어 그는 "앞으로는 LNG를 기반으로 글로벌 에너지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전략적 파트너십이 목표"라며 "지금보다 더 많은 LNG 거래 확대로 시장 확대와 공급망 확대를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