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단계 줄이고 온라인 거래 완화…수산물 유통구조 뜯어고친다

  • 유통비용률 10% 절감·가격변동성 25% 완화

  • ICT 기반 온라인 위판…산지-소비지 직통경로

3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 수산물이 진열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3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 수산물이 진열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수산물의 유통 단계를 줄여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온라인 거래의 규제를 완화해 수산물 거래 품목을 현재의 두배 이상으로 확대한다. 또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산지와 소비지의 직통 경로를 만든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경제관게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기재부와 해양수산부는 오는 2030년까지 △수산물 유통비용률 10% 절감 △주요 수산물 가격 변동성 25% 완화를 목표로 유통구조 손질에 나선다. 이를 위해 유통경로 간소화, 공급망 안정화 등 8대 추진 과제를 마련했다.

먼저 유통경로를 간소화해 유통비용을 절감한다. 노후화된 산지 위판장을 저온·친환경 시설로 현대화하는 동시에 산지거점유통센터(FPC)와 소비지분산물류센터(FDC)를 확충, 연계를 강화한다. 

산지 특성을 반영한 상품·상표 개발로 FPC를 브랜드화하고 가공·판매 활성화를 위한 가공 역량과 생산자 연계방안을 평가한다. 유통플랫폼과 협업해 FDC에 신규 판로를 확보하고 상하차, 분류 등 자동물류시스템을 구축해 물류비용을 줄여 나갈 계획이다.

현재 6단계인 온라인 도매시장을 4단계로 간소화하고, 수산물 거래 품목을 60개에서 134개까지 늘린다. 또 판매자 가입 요건을 완화하는 등 규제를 개선해 온라인 도매시장 유통비를 절감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정산·결제자금 융자를 지원하고 수협공판장과 온라인 도매시장 간 여신 시스템을 연계해 진입장벽을 제거한다.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산지-소비지 직통 경로를 구축, 유통단계를 축소한다. 조업 후 귀항 중인 선상에서 모바일기기로 위판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해 위판장에서 하역·선별·경매과정 단축 등 유통비용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한다.

해수부 관계자는 "이처럼 산지와 소비지 직통 경로를 구축하면 유통 단계를 축소해 비용 뿐만 아니라 유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수산물을 보다 신선한 상태로 유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대도시권 소비지에 수산물 전문 직매장 설치를 지원해 산지와 소비지를 직접 연결하는 물류체계 구축으로 유통비용을 축소한다. 올해 수도권 30개소 시범사업을 운영한 후 내년도 충청권 30개소로 늘리며 단계적 확대에 나선다.

현재 사후 재해 복구지원에서 재해 피해 예방형으로 공급망 안정화를 꾀한다. 긴급방류 제도 절차를 개선하고 재해 대응 장비의 사전 보급을 확대한다. 또 상습피해해역을 기후변화 복원해역으로 지정, 집중 관리에 돌입한다. 이밖에 스마트수산업 혁신 선도 지구 선정,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 등 스마트 양식업으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한다.

디지털 기반 유통 투명화로 가격안정과 신뢰 제고에도 힘쓴다. 도매시장 물량 분산 기반 마련을 통해 가격변동성을 완화하고 어획증명제, 수산물 이력제 확대를 통해 소비자 신뢰를 확보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