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장묵 동국대 교수, '한국형 AI-Defense 표준체계 K-ADA' 제시

강장묵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보호대학원 AI보안 전공 교수왼쪽에서 두번째가 지난 5일 국회도서관 대강당 열린 ‘적대적 AI인공지능 위협에 대응한 전력 발전방향’ 세미나에서 ‘적대적 AI 위협 시대 한국형 AI-Defense 전략체계 구축 방향’을 주제로 기조 발표를 진행했다 사진강장묵 동국대학교 제공
강장묵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보호대학원 AI보안 전공 교수(왼쪽에서 두번째)가 지난 5일 국회도서관 대강당 열린 ‘적대적 AI(인공지능) 위협에 대응한 전력 발전방향’ 세미나에서 ‘적대적 AI 위협 시대, 한국형 AI-Defense 전략체계 구축 방향’을 주제로 기조 발표를 진행했다. [사진=강장묵 동국대학교 제공]

강장묵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보호대학원 AI보안 전공 교수가 지난 5일 국회도서관 대강당 열린 ‘적대적 AI(인공지능) 위협에 대응한 전력 발전방향’ 세미나에서 ‘적대적 AI 위협 시대, 한국형 AI-Defense 전략체계 구축 방향’을 주제로 기조 발표를 진행했다고 6일 밝혔다.

이날 강 교수는 미국 국방성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GARD와 미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AI 표준을 분석하며, AI 전장의 핵심 키워드를 ‘신뢰(Trust)와 복원력(Resilience), 속도(Speed)’로 정의했다. 그는 “AI 없는 전쟁은 불가능하지만, 신뢰할 수 없는 AI는 재앙”이라며, AI 무기체계의 보증·검증·대응체계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한국군의 자주적 AI 방어 프레임워크인 ‘K-ADA’를 정진국 동국대 교수·AI 보안 공학박사(육군 준장으로 예편)와 함께 제시했다. 이 체계는 △복원형 PNT(Resilient PNT) △강건한 AI 코어(Robust AI Core) △적응형 C2 루프(Adaptive C2) △신뢰 기반 정보작전(Trusted InfoOps)으로 구성한다.

이번 세미나는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이영길 전 합참의장, 이영호 전 공군참모총장 등 전·현직 군 수뇌부가 참석해 축사를 전하며 “AI-Defense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입을 모았다.

강 교수는 이날 “AI 결심 속도(OODA Loop, 전쟁·비즈니스 등의 효율적 의사 결정·지휘 통제 과정)를 표준화하지 못하면 차세대 전장에서 주도권을 상실할 것”이라며 AI 국방 주권을 위한 기술·조직·교리의 동시 혁신을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