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사고수습본부 공동본부장인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9일 브리핑에서 "사고 발생 후 75시간이 지났음에도 추가 생존자를 구조하지 못해 가족분들과 국민 여러분께 매우 송구하다"며 "소방당국은 여러 위험 요소 속에서도 매몰된 구조자를 구조하기 위해 사투를 벌여 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사고는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했으며 구조 과정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붕괴된 5호기 보일러타워 좌우에 추가 붕괴 위험이 있는 4·6호기 보일러타워가 위치해 대규모 장비와 인력 투입에 제약이 있었고 구조작업 속도를 내기 어려웠다고 했다.
이에 따라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위험 요소를 제거하면서 구조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4·6호기를 해체하기로 결정했다. 김 장관은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구조를 위해 소방당국과 전문가들이 여러 차례 숙의를 거쳤고 가족들과 긴밀히 소통했다"며 "위험 요소를 제거하면서 구조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4·6호기를 해체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현대중공업 등 민관 전문가와 긴밀히 협업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사전조치를 완료하고 해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가 위험 요소를 철저히 관리할 방침이다.
김 장관은 "국민 한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온 나라가 나서야 한다는 대통령님의 말씀에 따라 모든 부처와 민간 전문가, 산하기관, 피해자 가족, 울산 지역 국회의원과 지방정부가 한 마음으로 매몰된 노동자 구조에 나서고 있다"며 "안전하고 보다 신속한 구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6일 오후 2시 2분께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에서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지면서 작업자 7명이 매몰됐다. 이 사고로 매몰된 7명 중 3명의 시신이 수습됐다. 사망 추정 2명, 실종 2명이 아직 매몰돼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