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10일 경기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접경의 목소리, 평화를 말하다'를 주제로 주민들과 함께 하는 평화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김남중 차관을 비롯해 박정 더불어민주당의원, 김대순 경기도 행정2부지사와 정일영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교수, 김진환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객원연구원, 마을 주민 70여 명이 참석했다.
토론회에선 우리 군의 포사격 재개로 인한 생활 불편을 호소하는 주민들의 발언이 이어졌다. 지난해 6월 9·19 군사합의 전체 효력이 정지된 이후 된 이후 해상과 육상 접경지역에서 포사격 훈련이 재개된 데 따른 것이다.
해마루촌 주민 조봉연(62)씨는 "사실 9·19 군사합의 그대로만 지켜지면 된다"면서 "자주포를 쏘면 집 전체가 흔들린다"고 토로했다. 이어 "쏘는 폭음, 날아가는 폭음, 떨어지는 폭음을 다 듣는다"며 "사격장 한 가운데 살고 있다"고 덧붙였다.
같은 마을 부녀회장인 A씨도 "포 소리 너무 커서 저희가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없을 만큼"이라며 "기본적인 삶의 질을 많이 저하시킨다"고 말했다.
한 주민은 문재인 정부 시절 접경지역 내 포 사격이 일시 중지됐던 경험을 언급하며 정부 기조에 따라 정책이 바뀌는 현실을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이런 정책 마저 자꾸 왜 이랬다저랬다 바뀌는지 모르겠다"면서 "신경을 써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주민들은 접경지역의 특수성을 살려 관광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장단면 통일촌의 이완배(72) 이장은 "오물풍선, 귀신 나오는 소리가 나왔을 땐 외국 관광객들도 다 줄었다"며 "통일촌 같은 마을은 관광수입으로 먹고 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엔) 조용하니까 관광객이 많이 늘었다"며 "평균 하루 3000명씩 외국 관광객들이 와서 우리 마을에서 쇼핑도 하고 식사도 한다. 어떻게 보면 그게 평화라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대성동마을 주민 김동찬(58)씨는 "사실 저희 마을이 민통선 안에 유일하게 살고 있는 민간인 마을"이라며 기존 판문점 안보견학 프로그램을 보다 내실화해 발전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밖에 조씨는 "접경지는 사실 민통선이라고 해야 맞다"며 "핵심 지역과 전이 지역으로 구분을 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이는 향후 사업 추진의 근거를 명확히 하기 위한 제안이다.
통일부는 이날 '특별한 희생을 감내해 온 접경지역 주민에게는 특별한 보상이 필요하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하며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김남중 차관은 개회사에서 "다시는 소음으로 밤잠을 설치지 않으시게 한반도에 항구적인 평화가 정착되도록 노력하겠다"며 "평화로운 일상과 안전한 삶을 위해 정부는 계속 최대한 노력해 나갈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또 "분단의 고통을 해결할 수 있는 근본 방안은 한반도의 평화정착"이라며 "남북 간의 신뢰가 쌓이고 한반도의 긴장이 완전히 사라져 평화가 일상이 된다면, 남북이 더 이상 서로를 비난할 일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부는 싸울 필요 없는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들기 위해 북한 체제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흡수통일을 추구하지 않을 것이고, 어떤 형태의 적대행위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한편 정일영 교수는 기조발제에서 "2024년 작년에 기본 구성이 만들어졌고 올해 이제 연말에 '평화경제특구' 기본 계획이 수립될 예정"이라며 "평화경제특구나 DMZ 생태평화공원을 발전시켜 나가는 부분, 접경 지역에서의 주민들의 피해를 조사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