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웅의 정문일침(頂門一鍼)] 예산 8조 시대 연 김진태 지사의 '미래 강원 투자' 전략

  • 산업, 민생, 복지 3대 중점 분야에 집중투자 예상

  • '민생경제 회복''복지실현' 편성내용 '합격점'평가

  • 강원도의회 대승적 차원서 심의 마중물 역할 해야

사진강원특별자치도
김진태 지사가 국비 주요사업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강원특별자치도]
'새로운 강원'의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는 김진태 강원도지사의 '동력'이 확보됐다. 강원도 역사상 최초 8조원대 내년도 예산이 편성된 것이다. 편성 내용에는 김 지사의 국비확보 노력의 산물도 포함돼 의미를 더했다. 따라서 민선 8기 마지막 임기 중 김 지사의 투자 전략에 도민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단 지난 10일 예산편성 관련 기자회견을 중심으로 분석하면 크게 '산업, 민생, 복지 3대 중점 분야'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2025년 11월 10일 자 아주경제 보도)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미래 전략산업 육성' '민생경제 회복' '돌봄과 상생의 복지 실현' 등이다.

강원도가 11일 도의회에 제출한 예산은 총 8조 3731억 원이다. 전년도 예산 7조 8059억 원보다 5672억 원(7.3%) 증가한 규모다. 가장 눈에 띄는 투입 전략은 미래전략산업 육성이다. 4558억 원을 투입, 반도체 테스트베드 사업과 한국 반도체 교육원을 비롯해 전국 최초로 지정된 수소 특화단지 핵심사업인 수소 저장·운송 클러스터 기반을 구축한다.

그중 1600억원은 반도체·AI·바이오 등 핵심 분야 인재 양성 사업에 투입된다. 민생경제 활성화를 위한 투자도 관심이다. 총 2조 3944억원을 투입키로 해서다. 그중에는 청년 취·창업 및 주거비 부담완화 정책도 흔들림 없이 추진될 것으로 보여 기대가 크다.

청년층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정착 지원 사업(청년월세지원 등)에도 올해보다 30% 확대된 224억원이 투자된다. 취·창업 활성화를 위한 구직활동지원금(여성구직활동지원 포함) 24억원 및 창업자금 무이자대출 15억원도 반영됐다.

정책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실질적 접근으로 평가할 수 있다. 출산·육아 지원을 포함한 저출산 대응 및 취약계층 복지, 보훈, 공공의료 분야에 총 3조 2661억 원을 반영됐다. 민생경제의 어려움으로 고통받고 있는 서민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예산은 규모보다도 집행 전략이 중요하다. 그런 면에서 김 지사의 이번 예산 편성 내용은 '합격점'이라는 평가다. 그런 만큼 예산의 집행 과정에서 지역 간 형평성과 실효성을 확보하느냐에 따라 효율성이 배가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관문은 하나 더 남아있다.

강원도의회는 심의 과정에서 정파적 논쟁을 넘어 도민의 삶을 기준으로 삼아주길 바란다. 삭감할 부분은 과감히 줄이고, 체감도가 높은 분야는 더 과감하게 늘리는 결단이 필요하다. 그래야 예산 8조 원 시대 인구 200만, 지역 총생산 100조 원, 사통팔달 수도권 강원도의 미래에 한 발 더 다가설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