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계 전문가와 민간인 등 모두 41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앞으로 경기도 인공지능 종합계획 수립, AI 산업 육성, 윤리 기준 설정, AI 행정서비스 확대 등에 대해 자문하고 정책 실행을 전담할 계획이다. 김 지사는 이보다 앞서 전국 지자체 최초 AI국을 지난해 신설, 관련 정책들을 수립 추진해 오고 있다. 그 결과 AI 시대 도민 서비스 발굴, AI 클러스터 조성, AI 전문인력 양성, 데이터 축적 및 개방,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구축 등등.
그동안 추진된 정책의 가시적 효과도 속속 나타나고 있다. 김 지사는 지방정부 최초 '생성형 AI 플랫폼' 행정서비스 시작을 알렸다. (2025년 11월 7일 자 아주경제 보도) '경기 생성형 AI 플랫폼'은 경기도가 자체적으로 통제·운영 가능한 지방정부 최초의 소버린 AI이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AI 미래를 견인하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AI가 가져올 변화의 폭과 속도가 문자 그대로 혁명적이어서다. 그만큼 인간이 준비해야 하는 분야도 방대하다. 특히 인간이 소외될 수 있는 윤리적 분야에 대한 준비는 더욱 그렇다. 이번에 출범한 '경기도 인공지능위원회'는 이러한 중차대한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 점에서 'AI 대전환 시대' 미래를 보는 김 지사의 안목과 세심함이 돋보인다.
특히 AI 등록제, 생성형 AI 행정서비스, 피지컬 AI 확산 등 경기도가 추진해 갈 핵심사업의 실현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도민 누구나 체감할 수 있는 AI 교육, AI 기반 복지·의료·안전 서비스, 인재 양성 및 일자리 창출 등 생활 속 AI 실현도 본격 추진한다.
전문가들은 'AI 대전환 시대' 인간의 비판적 사고·창의성·공감·윤리적 판단 등 고유 역량 강화는 필수라 조언한다. 그래야 진화하는 AI와의 공생 협력관계를 주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AI 발전이 모두를 위한 기술 진보를 이루려면 AI 공포와 우려를 막기 위한 제도적 규범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AI로 일자리가 줄고, 교육이 황폐화하고, 계층 간 고립이 심화한다면 그것이 좋은 사회일 수 없다. AI 혁신 부작용은 줄이는 제도적 틀 구축에 사회적 역량을 모아야 하는 것도 이같은 이유다. 김 지사의 제안으로 출범한 '경기도 인공지능위원회'가 대한민국 AI 기술 발전과 사회적 합의를 끌어내는 초석이 되길 바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