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사령관 "동아시아 지도 뒤집으면 한반도 전략적 중요성 보여"

  • 韓·日·필리핀 협력틀 강조


동쪽이 위인 지도는 한반도를 가운데 놓고 남북을 180도 뒤집은 동아시아 지도를 말한다 주한미군은 올해 초부터 브런스 사령관의 지시에 따라 내부 교육용으로 이 지도를 사용해왔다 사진주한미군사령부
동쪽이 위인 지도는 한반도를 가운데 놓고, 남북을 180도 뒤집은 동아시아 지도를 말한다. 주한미군은 올해 초부터 브런스 사령관의 지시에 따라 내부 교육용으로 이 지도를 사용해왔다. [사진=주한미군사령부]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군사령관은 동아시아 지도를 뒤집어보면 한국, 일본, 필리핀 3국의 전략적 협력 필요성을 느낄 수 있다고 17일 전했다.
 
브런슨 사령관은 이날 주한미군사령부 누리집(홈페이지)에 주한미군 교육용으로 사용되는 위아래가 뒤집힌 동아시아 지도를 해설하는 글을 올렸다.
 
그는 "아마 이 지도가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통찰은 한국, 일본, 필리핀을 연결하는 전략적 삼각형의 존재"라며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 세 파트너 국가를 각각 삼각형의 꼭짓점으로 보면 이들의 집단적 잠재력은 분명해진다"고 밝혔다.
 
브런슨 사령관은 "전략적 삼각 개념은 전통적인 양자 동맹구조를 넘어 3자의 계획 논의를 위한 유용한 협력 틀(framework)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브런슨 사령관은 '한국·일본·필리핀 삼각 협력이 기존 양자 동맹 구조보다 어떤 장점을 갖고 있냐'는 국방부 기자단의 서면 질의에 "삼각 협력 틀의 강점은 기존 (양자) 동맹과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이라는 점에 있다"고 답했다.
 
그는 "(뒤집힌) 지도 관점에서 보면 한국, 일본, 필리핀은 세 개의 분리된 양자 관계가 아니라 하나의 연결된 네트워크로 보인다"며 "한국은 중심부에서의 깊이, 일본은 기술 우위와 해양 도달 범위, 필리핀은 남쪽 해양 축의 접근성을 제공하며, 각자 고유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동맹을 만들려는 것이 아니며, 특정 국가를 겨냥하는 것도 아니다"며 "이미 존재하는 지리적 관계를 인식하고, 협력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안을 찾는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