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17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 항소포기 외압 진상규명 국정조사 촉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 1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대장동 항소 포기 외압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촉구 기자회견'에서 "(대장동 항소 포기로) 국민의 7800억이 날아가고, 대장동 일당은 추징보전 해제를 요구하며 국가 배상까지 협박하고 있다"며 "대통령이라는 뒷배가 없다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장 대표는 민주당의 배임죄 폐지도 "대장동 일당과 이재명의 죄를 없애기 위한 것"이라 규정했다. 국민의힘은 항소포기 논란을 배임죄 폐지 흐름과 결합해 이른바 '대장동 방탄' 프레임으로 재구성하려는 전략을 펴고 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대장동 이슈의 여론 확장성에는 한계가 있다는 내부 반론도 만만치 않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이날 아주경제와 만나 "대장동은 이미 정치 고관여층만 아는 이슈가 됐다"며 "국민의 관심은 환율과 부동산, 캄보디아 사건 같은 민생 변수에 훨씬 더 쏠려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구글 검색 트렌드만 보더라도 환율 검색량이 대장동의 몇 배 수준"이라며 "(대장동과 함께) 민생 라인을 가져가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그럼에도 국민의힘은 이번 주 내내 아침 규탄대회를 이어가며 장외 압박 강도를 높일 방침이다. 지난 17일 용산 대통령실 앞 집회를 시작으로 과천 법무부(18일), 서울고검 내란특검팀(19일), 대검찰청(20일) 등에서 집회를 열 계획이다. 지도부가 전원 참석하고 의원·당협위원장 참여도 독려하고 있다. 다만 연이은 장외 일정에도 불구하고, 의원들의 집회 참석률은 좀처럼 오르지 않아 투쟁 동력 확보가 과제로 지적된다.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KBS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당내에서) 제가 아는 선에서는 장외 투쟁 최소화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있다"며 "적어도 국정조사라는 틀 안에서는 야당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의견을 보탰다. 장외 집회보다 국회 안에서 대응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말이다. 여기다 장외투쟁과 대장동 관련 메시지가 과도하게 부각되면 민생 이슈는 계속 후순위로 밀릴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그런 가운데 장 대표는 강경 행보를 당분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장 대표는 지난 16일 보수성향 유튜브 '이영풍TV'에 출연해 '내년 지방선거에서 자유통일당과 자유와혁신 등과 연대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내년 지선을 제가 '체제전쟁'이라 말씀드린 것, 독재 체제를 막기 위해서 다 함께 연대할 수 있어야 한다"고 답했다. 당내에서 지도부의 강경 행보에 대한 경계가 나오는 데 장 대표가 '보수 결집' 메시지를 재차 강조한 이유에서다.
한편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는 무선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