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SK오션플랜트 매각 추진에 강력 반대

  • "지역 산업 기반 흔들릴 수도"

김명주 경남도 부지사가 17일 브리핑룸에서 SK오션플랜트 매각추진 반대 입장을 밝혔다사진경남도
김명주 경남도 부지사가 17일 브리핑룸에서 SK오션플랜트 매각추진 반대 입장을 밝혔다.[사진=경남도]


경상남도는 SK에코플랜트가 자회사 SK오션플랜트의 경영권 지분 37%를 디오션자산운용 컨소시엄에 매각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강한 반대 입장을 17일 밝혔다.

도는 이번 매각이 조선·해상풍력 산업의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지역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경남도는 그동안 해상풍력을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고성군과 함께 산업 특구 지정, 규제 특례 적용, 기반시설 확충, 행정 지원 등 다양한 지원을 지속해 왔다.

도는 특히 SK오션플랜트가 고성 해상풍력 기회발전특구의 핵심 기업이라는 점에서, 자금조달 능력과 사업수행 역량이 검증되지 않은 사모펀드로의 매각은 사업 지연과 표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경남도는 이번 사안을 단순한 기업 간 매각이 아니라 지역 조선산업 경쟁력과 국가 해상풍력 산업의 미래와 직결된 중대한 문제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도는 매각 동향 초기부터 SK그룹, 디오션자산운용, 고성군 등과 지속적으로 협의를 진행해 왔다.

도는 지난 10월 고성군수 및 지역주민단체와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공식 반대 입장을 밝힌 데 이어, 이달 들어 SK에코플랜트와 디오션자산운용 관계자들을 직접 만나 우려를 전달했다.

경남도는 SK오션플랜트가 사모펀드에 매각될 경우 고성 해상풍력 기회발전특구 조성사업의 공정 지연뿐 아니라 해상풍력 기자재 시장의 외국기업 독점 가능성도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근로자 고용·협력업체 계약 유지 등 경영 안정성이 흔들리며 지역경제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우려 요인으로 꼽았다.

도는 향후 대응 방안으로 △지역 주민 의견 수렴 강화 △산업단지 사업시행자 변경 절차에서 신규 시행자의 자금·사업 능력 철저 검증 △산업부·방사청과 협력해 방산업체 지정 관련 승인 과정 강화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국산기자재 사용 의무화 추진 △고성 해상풍력 기회발전특구의 정상 추진 등을 제시했다.

특히 SK오션플랜트가 안정적으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수주가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국산기자재 의무화와 지역 해상풍력단지의 조속한 추진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경남지역에서는 현재 1.5G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가 추진되고 있으며, 이에 필요한 하부구조물만 최소 1조 3000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김명주 도 경제부지사는 “국내 최고 기술력을 갖춘 SK오션플랜트가 사모펀드에 매각될 경우 외국기업의 시장 독과점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국가 에너지안보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SK그룹은 일시적 경영상 어려움에 흔들리지 말고 인수 당시의 초심으로 돌아가 해상풍력 산업 발전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