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오인태 교육주권 상임의장 진영 단일화에 제동..."불합리하면 완주"

  • "교육을 진영으로 재단하지 말라...학교 권한 돌려주는 실질적 교육자치 실현"

  • 본선 경쟁력·학교 신뢰도 중심 재편 요구…"원칙 무시하면 중도 완주" 시사

사진박연진 기자
[사진=박연진 기자]

오인태 전 창원 남정초 교장(교육학 박사·교육주권 전국회의 상임의장)이 ‘본선 경쟁력과 학교 신뢰를 중심으로 한 중도·진보 단일화’를 공식 주장하며 기존 진영 중심 구도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오 전 교장은 “교육을 진보·보수라는 틀에 끼워 넣는 순간 도민의 선택권은 축소된다”며 “단일화는 정치적 유불리가 아니라 학교 현장이 신뢰하는 인물인지, 본선에서 이길 후보인지가 판단 기준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발언의 배경에, 2026년 경남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꿈틀거리는 새로운 단일화 기준 제기 움직임이 있다.

현재 경남 교육감 선거는 박종훈 교육감의 3선 연임 제한으로 다수 후보가 준비에 나서며 과열 조짐이 뚜렷하다.

진보 진영은 ‘좋은 교육감 만들기 경남시민운동본부(가칭 시민연대)’를 출범해 김준식·송영기·전창현 3인을 대상으로 2월까지 단일화를 마친다는 계획이다. 보수 진영도 이르면 12월 여론조사 방식 단일화에 나선다. 

그러나 오 전 교장은 이 같은 진영별 경쟁 방식이 “교육 본질을 흐리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학교 선생님, 학부모, 도민은 자신을 진보·보수로 규정하지 않는다. 그런데 후보를 진영 논리로 정하는 건 정치적 셈법일 뿐”이라는 것.

최근 진보 진영이 검토 중인 시민 선거인단 방식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본선 경쟁력이 검증되지 않은 채 특정 단체가 선거권을 독점하는 구조라면 도민 참여는 사실상 배제되는 셈”이라며 “이 방식은 ‘교육 단일화’가 아니라 ‘정치 단일화’에 가깝다”고 비판했다. 이어 “객관적 지표 없이 폐쇄적 절차로 후보를 결정한다면 명분도 설득력도 없다”고 했다.

오 전 교장이 제시하는 단일화 기준은 명확하다. 그는 △여론조사 데이터 △언론·전문가 평가 △학교·학부모 신뢰도 등을 종합해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지표를 갖춘 후보가 단일화의 중심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선 경쟁력 평가에는 “중도층 확장성, 학교 현장 요구를 정책으로 구현할 능력”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 전 교장은 원칙 없는 단일화가 추진될 경우 중도 독자 출마를 선택하겠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그는 “본선 경쟁력이 부족한 인물이 단일 후보가 된다면 끝까지 완주할 것”이라며 “3자 구도로 이어질 경우, 승패를 가르는 기준은 결국 학교 현장이 누구를 신뢰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은 이념의 대결이 아니라 신뢰의 경쟁”이라고 강조했다.

오 전 교장은 경남교육의 구조적 문제로 교육감 권한 집중을 지적하며, 학교에 권한·재원·인력을 이양하는 협력형 학교자치 모델을 제시했다.

그는 “교육자치는 교육부 권한을 교육감이 가져오는 게 아니라, 교육감 권한을 학교로 되돌려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학교가 ‘학원형 구조’로 변질되면서 아이들의 성장 공간 기능이 약화됐다고 분석하며 “모든 학생이 강점을 발굴할 수 있는 전면적 잠재력 교육 체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오 전 교장은 “진영 논리에 갇힌 단일화는 더 이상 경남교육을 바꿀 수 없다”며 “학교와 도민이 신뢰할 수 있는 후보 중심의 단일화 논의가 다시 세워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어떤 경우에도 학교와 아이들의 미래를 기준으로 판단하겠다”고 덧붙였다.

그의 제안은 앞으로 중도·진보 단일화 논의뿐 아니라 전체 선거 판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