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대 금융복합집단 자본적정성 안정세…DB·삼성 순으로 높아

  • 평균 자본적정성 비율 175.2%…통합 자기자본 180조원대

사진금융감독원
[사진=금융감독원]
올해 6월 말 기준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 건전성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익잉여금 확대와 보험계열사의 자본성증권 발행이 통합자기자본을 끌어올리며 자본적정성 비율 상승을 이끌었다.

금융감독원이 20일 공개한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에 따르면 DB·삼성·다우키움·교보·미래에셋·한화·현대차 등 7개 그룹의 평균 자본적정성 비율은 175.2%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174.3%)보다 0.9%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금융복합기업집단은 은행·보험·증권 등 2개 이상의 금융회사를 거느리면서 자산총액이 5조원을 넘는 대기업 집단을 의미하며, 자본적정성 비율은 법상 최소 100% 이상 유지해야 한다.

상반기 말 통합자기자본은 180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9조원(5.3%) 증가했다. 이익잉여금 누적과 보험사 자본성증권 발행이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같은 기간 통합필요자본은 보장성 보험 판매 확대에 따른 장해·질병 위험액 증가 영향으로 102조8000억원을 기록해 4조7000억원(4.8%) 늘었다.

그룹별 자본적정성 비율은 DB가 204.2%로 가장 높았고, 삼성(189.0%), 다우키움(186.7%), 교보(181.7%), 미래에셋(164.1%), 한화(152.0%), 현대차(147.8%)가 뒤를 이었다. DB·삼성·현대차는 지난해 말 대비 비율이 상승한 반면, 교보·다우키움·한화·미래에셋은 소폭 하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