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택 소유율 역대 최저…30대 무주택 가구 53만 달해

  • 30대 가구주 3년 연속 감소…역대 최소

서울 시내의 부동산에 붙은 매매 안내문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의 부동산에 붙은 매매 안내문 [사진=연합뉴스]
1인가구 증가에 집값 폭등, 대출 규제 강화로 지난해 서울 거주 30대 무주택 가구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30대 가구주 4인 중 집주인은 1명으로 주택 소유율은 가장 적게 나타났다.

24일 국가데이터처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전년 대비 1만7215가구 증가한 52만7729가구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5606가구에서 2018년 45만6461가구까지 감소하다 2019년 증가세로 돌아섰다. 무주택가구 증가 폭은 2021년 3000가구대에서 2022년 1만5000가굳, 2023년과 지난해에는 1만7000가구대로 늘었다.

반면 30대 집주인은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인다. 지난해 서울 30대 주택 소유가구는 전년 대비 7893가구 줄어든 19만3456가구로 조사됐다. 역대 최소치로, 무주택 가구가 주택 소유가구보다 2.9배 많게 나타났다. 

무주택 가구는 증가하는데 주택 소유가구는 감소하며 주택 소유율도 하락했다. 2024년 서울의 30대 가구 중 주택 소유가구 비중을 의미하는 '주택 소유율'은 25.8%에 그쳤다. 2015년 33.3% 수준을 보였던 서울 30대 주택 소유율은 2020년 30.9%로 하락, 2022년부터 20%대를 보이고 있다.

전국 30대 주택 소유율은 36.0%로 6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서울보다는 10%포인트 이상 높다. 서울 중심으로 집값이 급등하자 청년층 자가 마련에 걸림돌이 되는 것이다.

취업과 결혼이 늦어지며 주택 매입 시기도 지연되는 것 역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특시 1인 가구가 많은 서울의 특성상 주택 소유율이 더욱 낮아지즌 것으로 풀이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