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 화성시의 목표 계획인구는 통계청 인구추계치와 공공주택지구, 역세권개발사업 등 각종 개발사업으로 유입될 인구를 고려해 154만 명(현재 약 104만 명)으로 설정했다.
토지이용계획은 화성시 전체 행정구역(1126.32㎢) 가운데 장래 도시발전에 대비해 개발 가용지 46.85㎢를 시가화예정용지로 계획하고 시가화된 기존 개발지 102.19㎢는 시가화용지, 나머지 977.28㎢는 보전용지로 확정했다.
화성시 공간구조는 신규 개발사업, GTX 등 광역교통망 등에 따른 거점 변화와 균형발전을 고려해 2도심 4부도심 9지역중심으로 계획했다.
교통계획은 대규모 개발사업지역과 기존 시가지 간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주요 생활권을 연계하는 순환도로망 체계 구축, 광역급행철도(GTX-A, C)를 포함한 철도망 계획 등 경기 서부 SOC 대개발과 연계된 기반시설 계획을 반영했다.
김희성 경기도 도시정책과장은 "2040년 화성 도시기본계획 승인에 따라 화성시가 공공주택지구(봉담3·진안), 송산그린시티, 화성 국제테마파크, 역세권 등 개발사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로 성장함과 더불어 화성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승인된 2040년 화성 도시기본계획은 12월 중 화성시 누리집에 공개될 예정이다.
이번 2040년 화성도시기본계획 승인으로 향후 화성시의 도시구조 변화와 수도권 서남부 지역의 성장축 재편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광역교통망 확충과 신산업 기반 구축이 동시에 반영된 계획이어서 화성의 도시 경쟁력이 한 단계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GTX-A·C, 신항만 접근도로, 순환도로망 등 교통 인프라 확충이 예정돼 있어 동탄·봉담·송산 등 주요 생활권 간 이동 효율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를 기반으로 자족형 산업지 확대와 기업 투자 유치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서해안 관광벨트, 국제테마파크 조성 등 대형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화성의 관광·문화 수요 역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시 전문가들은 “화성은 산업·주거·관광이 결합된 복합 성장 모델을 구축할 가능성이 크다”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수도권 균형발전의 핵심 지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