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정기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임원 승진 규모는 2021년 이후 5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아울러 인공지능(AI)과 로봇, 반도체 등 분야에서 미래 기술 인재를 다수 승진시켰고, 30대 상무와 40대 부사장 승진도 이어지는 등 세대교체가 가속화한 점이 눈에 띈다.
삼성전자는 25일 부사장 51명, 상무 93명, 펠로우 1명, 마스터 16명 등 총 161명을 승진하는 내용의 '2025년 정기 임원 인사'를 발표했다.
올해 승진 규모는 지난해(137명)보다 24명 늘었다. 삼성전자 정기 임원 인사 규모는 2021년 214명을 기록한 이후 2022년 198명, 2023년 187명, 2024년 143명, 2025년 137명으로 꾸준히 감소했으나 5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부문별로는 디바이스경험(DX) 부문에서 92명,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에서 69명이 승진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사에서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선제 대응과 주도권 확보를 위해 AI·로봇·반도체 분야 인재를 대거 중용했다"며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서도 주요 사업 분야에서 성과를 창출한 인재들을 중심으로 승진 인사를 구성해 성과주의 인사 원칙을 견지했다"고 밝혔다.
이어 "연공서열보다 전문성과 성장 잠재력을 우선해 30대 상무·40대 부사장 승진이 이어졌고, 여성·외국인 발탁도 확대했다"고 덧붙였다.
데이터 기반 신기술·비즈니스 모델 개발 성과를 창출한 이윤수 디바이스경험(DX) 부문 삼성리서치 데이터인텔리전스 팀장(50세), 차세대 솔루션 플랫폼 개발과 핵심 요소 기술 확보를 주도한 장실완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 메모리사업부 솔루션플랫폼개발팀장(52세), 갤럭시 Z 폴드7 등을 기획한 강민석 DX 부문 MX사업부 스마트폰PP팀장(49세) 등이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사에서 세대교체 기류도 분명히 했다. 30대 상무 2명과 40대 부사장 11명이 배출됐다. 지난해 각각 1명, 8명에서 늘어난 규모다.
30대 상무 2명은 DX 부문 MX사업부 시스템퍼포먼스그룹장 김철민 상무(39세)와 DX 부문 삼성리서치 AI모델팀 이강욱 상무(39세)다.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인 김 상무는 성능 개선 솔루션 개발 등으로 단말 경쟁력 확보에 기여했다. 이 상무는 생성형 AI 언어·코드 모델 개발을 주도한 AI분야 전문가로 제품 차별화 및 생산성 강화를 위한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이끌었다.
여성 승진자인 DX부문 DA사업부 전략구매그룹장 이인실 상무는 DA사업부 여성 최초로 생산법인 구매 주재를 역임한 구매 전문가다. 그는 원자재 공급망 다변화를 통해 가전사업의 구매경쟁력 확보에 기여했다.
승진자 평균 연령은 47.7세로, 지난해 47.6세와 비슷했다. 이번 임원 인사에서 총 9명의 여성과 1명의 외국인 임원 승진도 이뤄졌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번 승진 인사로 2026년 경영진 구성 작업을 마무리했고, 조만간 조직개편과 보직 인사를 발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