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근 화성특례시장, 돌봄 공백 대상자에 단기 주거 및 회복 지원 제공

  • 화성특례시, LH경기남부지역본부와 '화성형 주거안심회복주택 운영 업무협약' 체결

  • 유니세프 한국위원회·기아 주식회사와 '다문화아동 지원을 위한 민관 협약' 체결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이 권운혁 LH 경기남부지역본부 본부장과 협약서를 교환하고 있다 사진화성시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이 권운혁 LH 경기남부지역본부 본부장과 협약서를 교환하고 있다. [사진=화성시]
화성특례시(시장 정명근)는 27일 시청 중앙회의실에서 LH경기남부지역본부(본부장 권운혁)와 ‘화성형 주거안심회복주택’ 운영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은 병원 퇴원 환자, 복지시설 퇴소자, 돌봄이 끊긴 위기가구 등 돌봄 공백 대상자에게 단기 주거와 회복 지원을 제공해, 시민이 위기 상황에서도 지역사회 안에서 머물며 다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추진됐다.

‘화성형 주거안심회복주택’은 단기 주거 공간 제공, 보건의료 연계, 일상생활 돌봄을 결합한 원스톱 지원 모델로 운영되며 입주자는 △회복주택 입주 △기능 회복 △귀가 등 단계별 지원을 받게 된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장기적 통합돌봄 사업의 기획·추진을 위해 공동 협력한다. LH는 공공임대주택을 주거안심회복주택으로 공급해 유지 보수 관리하고, 시는 공급된 주택을 목적에 맞게 운영 관리한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과 권운혁 LH 경기남부지역본부 본부장이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화성시
정명근 화성특례시장과 권운혁 LH 경기남부지역본부 본부장이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화성시]
이날 협약식은 정명근 화성특례시장과 권운혁 LH경기남부지역본부장은 협약서에 서명하고 양 기관의 로고 판넬을 맞붙여 ‘집’ 모양을 완성하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퍼포먼스는 ‘필요할 때 곧바로 닿는 보금자리’라는 사업의 의미를 담고 있다.

시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LH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지역 내 공공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돌봄 사각지대 없는 통합돌봄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권운혁 LH경기남부지역본부장은 "화성특례시와 함께 시민들의 위기 극복을 도울 수 있어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시민 누구나 어려운 시기에 안정적으로 머물 수 있는 주거·돌봄 안전망 마련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위기 순간에 가장 먼저 필요한 건 안심하고 머물 수  있는 집"이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누구나 살던 곳에서 존엄을 지키며 회복하고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는 지역사회 통합돌봄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니세프 한국위원회·기아 주식회사와 ‘다문화아동 지원을 위한 민관 협약’ 체결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이 협약식 당위성에 대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화성시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이 협약식 당위성에 대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화성시]
화성특례시(시장 정명근)가 27일 시청 중앙회의실에서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기아 주식회사와 ‘다문화아동 지원 및 지역사회 민관 상생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은 UN아동권리협약에 근거해 다문화아동의 권리를 증진하고 교육·복지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된 것으로, 민관이 협력해 ‘다문화아동 맞춤형 지원사업’을 운영하고자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문화아동을 대상으로 안정적인 공교육 진입 및 지역사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한국어 교육과 한국 역사 및 문화교육 제공하는 데 협력한다. 

관내 이주배경청소년 지원 전담기관인 화성시글로벌청소년센터(지구별화성)가 맡아 다문화아동 및 미등록 이주 아동 발굴과 프로그램 운영 등을 담당하며 기아 주식회사와 유니세프 한국위원회는 사업비 및 운영을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는 정명근 화성특례시장, 송민수 기아 화성공장장, 조미진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이 참석해, 관내 다문화아동 지원을 위해 상생 협력할 것을 다짐했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이 송민수 기아오토랜드 공장장과 조미진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사무총장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화성시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이 송민수 기아오토랜드 공장장과 조미진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사무총장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화성시]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화성특례시는 아동친화도시로 국적이나 출생 등록 유무와 관계없이 아동들은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다문화아동들이 보다 안정적이고 평등한 환경에서 교육을 받고 각자의 잠재력을 마음껏 발휘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화성특례시는 이주민의 증가 및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원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지난 2024년 11월 도내 세 번째로 글로벌청소년센터를 설치했다.

센터는 언어적·문화적 차이로 학교적응이 어려운 이주배경 아동청소년에게 한국어 교육, 한국사회 이해교육,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공해 이들이 지역사회의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