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수도권 아파트 4가구 중 1가구 미분양

올들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 분양된 아파트 4가구 가운데 1가구가 주인을 찾지 못하고 미분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5년 미분양 가구수가 30가구 가운데 1가구였던 것에 비해 무려 6배나 증가한 것으로 최근의 분양시장이 얼어붙어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또 전국 기준으로도 지난 2005년 10가구 중 1가구였던 미분양 아파특가 올 들어서는 4가구 중 1가구로 역시 큰 폭으로 늘어났다.

11일 부동산정보업체 닥더아파트가  올 초부터 7월말까지 전국에서 분양된 아파트 11만933가구에 대해 분양 실적을 조사한 결과 2만7231가구가 미분양 아파트로 남아 24.5%의 미분양률을 기록했다.

연도별로는 지난 2005년 9.2%(29만2532가구 중 2만6975가구)에서 2006년 18.9%, 2007년 20.8%로 3년째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은 올 초부터 7월말까지 분양된 6만549가구 중 1만604가구가 미분양 아파트로 전락해 미분양률이 17.5%에 달했다.

이는 지난 2005년 3.3%(12만6738가구 중 4021가구)보다 무려 6배 가까이 는 것이다. 서울 수도권의 미분양률은 2006년 7.9%, 2007년 8.9%로 비교적 낮았었다.

지방 광역시는 미분양률이 더욱 심각했다.

올초부터 7월까지 분양된 2만2801가구 중 7948가구가 주인을 찾지 못해 미분양률이 무려 34.9%로 나타났다. 2005년에는 12.3%였다.

지방 중소도시의 미분양률은 지난 2005년 14.8%에서 2006년 21.6%, 2007년 35.2%, 2008년 31.5%였다.

이처럼 최근 수도권 미분양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은 지방 분양시장에서 어려움을 느낀 많은 건설업체들이 수도권에 분양을 집중했으나 분양가나 불투명한 시장 전망 등에 부담을 가진 청약자들이 이들 물량을 회피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수도권은 당초 지방 미분양에도 불구하고 분양에 대해 큰 부담이 없었으나 최근 미분양률이 증가함에 따라 향후 분양시장에서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또 지방의 경우 미분양률 상승폭은 수도권에 비해 크지 않지만 기존 미분양 물량이 적체돼 있는 상황이라 자칫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가능성마저 우려되고 있다.

닥터아파트 이영진 리서치연구소장은 "최근 들어 수도권에서도 분양이 잘 되지 않아 많은 건설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미분양 해소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