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확충 완료시점서 본격화 예상
은행권이 금융위기에 따른 경영난을 인수ㆍ합병(M&A)을 통해 극복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24일 메리츠증권은 산업전망 보고서에서 "은행권은 자본확충을 마무리하는 시점부터 본격적인 M&A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밝혔다.
임일성 금융팀장은 "은행 위기 본질 가운데는 대형화를 위한 과당 경쟁에서 촉발된 부분도 있다. 경쟁을 마무리할 대형 M&A 필요성이 있는 만큼 위기 돌파구를 M&A를 통해 없앨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은행이 보여준 과거 M&A 사례도 이같은 전망을 뒷받침한다는 설명이다.
임 팀장은 "미국 체이스맨해튼은행과 케미컬은행은 합병과정에서 대대적으로 구조조정을 실행한 결과 순이익 급신장세를 보였다. 일본에서는 소매기업금융에 강점을 지닌 미쓰비시은행과 외국환 업무에 강점을 지닌 도쿄은행이 합병을 통해 자산규모나 수익면에서 모두 정상 자리를 확보하는 메가뱅크로 변모했다"고 전했다.
정부가 금융기관 민영화를 적극 추진하는데다 완화된 금산분리나 금융지주회사법은 은행권 M&A를 더욱 자극할 수 있다.
메리츠증권은 은행간 M&A 과정에서 기존 주식가치에 프리미엄이 붙어 주가 상승 계기를 만들 것으로 내다봤다.
조준영 기자 jjy@ajnews.co.kr
<ⓒ'아주경제'(www.ajnews.co.kr)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