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통위, `한미FTA 상정' 격돌 아수라장


   국회는 18일 한미FTA(자유무역협정) 비준동의안 상정 문제를 놓고 난장판이 됐다.

   여야가 극한 대립까지 치달은 국회 본청 401호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회의장 주변은 한마디로 아수라장 그 자체였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예산안 처리가 끝나기가 무섭게 선포한 `전쟁' 상황이 그대로 연출된 것이다.
    민주당은 한나라당이 회의장을 봉쇄하자 대형 해머로 회의장 문을 부수는 일까지 서슴지 않았고, 회의장 안에 있던 국회 경위들은 의자와 책상 등으로 바리케이드를 쳤다.

   이 과정에서 욕설이 난무하는 몸싸움이 수시로 벌어졌고, 소화기 분말과 물 세례가 오가며 감정대립은 극으로 치달았다. 의원들의 명패는 바닥에 내동댕이쳐졌다.

   외통위는 오후 2시 비준동의안 상정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었지만 전쟁은 전날 밤부터 시작됐다.

   한나라당은 전날 자정까지 의원과 보좌진 30여명을 배치해 회의장을 지켰고, 이날도 오전 6시30분께 의원 11명이 회의장에 들어온 뒤 옆에 있는 위원장실에 대기했다. 박 진 위원장과 정몽준 최고위원 등 중진들이 직접 나서 의원들을 독려했다.

   민주당은 개회 자체를 막기 위해 이날 새벽 박 위원장과 한나라당 간사인 황진하 의원 자택에 의원들을 급파했으나 이미 두 사람이 자택을 비운 뒤였다.

   또 오전 8시15분께 의원총회까지 취소한 채 원혜영 원내대표를 필두로 의원과 당직자 150여명이 4층 회의실로 몰려갔지만 박 위원장의 질서유지권 발동을 이유로 경위들은 문을 열지 않았다.

   민주노동당도 강기갑 대표를 비롯한 의원과 당직자 10여명이 몰려와 출입 금지조치를 맹비난했지만 경위들은 요지부동이었다.

   민주당 당직자들은 오전 9시30분께부터 옆문으로 이동해 정과 대형 해머로 문을 내리치면서 개문을 시도했다.

   그 사이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원내대표 접촉을 갖고 절충점 모색에 나섰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민주당은 김형오 국회의장도 면담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이에 민주당 당직자들은 회의장 문을 열기 위해 다시 해머로 문을 내리쳤고, 집요한 시도 끝에 11시10분께 한쪽 문을 뜯어내는데 성공했다. 전기톱도 준비됐다는 말까지 나왔다.

   하지만 회의장 안에 있던 경위들은 소파와 책상, 의자 등을 쌓아올려 민주당의 회의장 진입을 막았고, 민주당은 이내 다른 한쪽 문마저 뜯어냈다.

   감정 대립이 격화되면서 민주당은 소화전을 끌어다 바리케이드 너머로 즉석 물대포를 쐈고, 경위들은 밖을 향해 소화기를 분사했다. 이 과정에서 회의장 밖 유리문이 파손되면서 한나라당 보좌관이 손가락을 크게 다쳐 병원에 후송되기도 했다.

   난장판 상황 속에 박 위원장은 오후 2시가 되자 한나라당 의원 10명만 참석한 가운데 전체회의 개회를 선언한 뒤 비준동의안을 상정한 데 이어 이를 법안심사소위로 넘겼다.

   박 위원장은 3분 여만에 산회를 선포했고, 한나라당 의원들은 경위들의 보호를 받으며 민주당 당직자들의 심한 야유 속에 회의장을 빠져나갔다.

   뒤늦게 회의장에 들어선 원 원내대표는 "대한민국 헌정사에 이런 일은 없었다. 원천무효다"라며 `날치기, 사기상정'이란 말을 연발했고, 강기정 의원은 "매국노 박 진 어디 갔느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도 굳은 표정으로 "외통위원들이 참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정 처리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말했다.

   민주노동당 이정희 의원은 눈물을 흘리면서 "국회의장과 한나라당을 인정할 수 없다"며 한나라당 의원들의 명패를 땅바닥에 내동댕이쳤고, 곧이어 민주당 최영희 의원도 명패를 발로 밟아 부쉈다.

   한바탕 회오리가 지나간 외통위 회의장은 부서진 명패들이 널브러져 있고 온갖 서류더미와 음료수병이 어지러이 나뒹구는 등 전쟁터를 방불케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