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한국경제 금융위기 이전 회복"

한국 경제가 미국발 금융위기 이전 수준의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빠르게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9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최근 경기선행지수(CLI) 보고서에서 한국의 4월 CLI가 99.0으로 전달의 96.5보다 2.5포인트가 상승, 29개 회원국 중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됐다.

이로써 한국의 CLI 상승 폭은 3개월 연속으로 회원국중에 가장 컸으며 CLI 지수는 2008년 5월(98.5)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CLI는 산업활동동향, 주택 동향, 금융.통화 현황, 국내총생산(GDP) 흐름을 복합적으로 계산한 것으로 보통 6개월 후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로 쓰인다.

CLI가 100 이상에서 상승하면 경기 팽창, 하락하면 경기 하강을 의미하며 100 이하에서 CLI가 오르면 경기 침체에서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은 CLI가 지난해 2월 101.5까지 기록했으나 9월 리먼 사태로 글로벌 경기가 침체되면서 10월 90.6, 11월 90.6로 급락했다가 12월 91.2, 올해 1월 92.5, 2월 94.3, 3월 96.5, 4월 99.0으로 빠른 속도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4월 CLI가 전월 대비 2.5포인트 상승해 회원국 중 1위를 기록했으며 이탈리아(2.1포인트), 터키(1.9포인트), 헝가리(1.8포인트), 프랑스(1.2포인트), 핀란드(1.0포인트)가 뒤를 이었다.

미국과 일본도 각각 전월 대비 0.2포인트와 0.1포인트가 상승해 경기 급락세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으며 네덜란드(-0.1포인트), 스위스(-0.2포인트), 노르웨이(-0.3포인트), 스웨덴(-0.8포인트), 슬로바키아(-0.8)는 여전히 경기 하강 국면으로 예측됐다.

또한 CLI 지수만 놓고 볼 때 한국은 4월에 99.0으로 이탈리아(99.4), 핀란드(99.1)에 이어 프랑스와 함께 공동 3위에 올랐다.
 
이같은 추세로 볼 때 한국의 CLI 지수는 내달 100선을 무난히 돌파할 것으로 보여, 한국 경제가 5월에 바닥을 친데 이어 연말에는 경기 회복을 넘어서 경기 팽창까지 가능할 것으로 OECD는 평가했다.

반면 미국의 4월 CLI 지수는 90.9, 일본은 89.5, 독일 90.3으로 주요국들은 아직 본격적인 경기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분석됐다.

OECD는 "4월 CLI를 분석해보니 모든 회원국이 전반적으로 바닥을 쳤다고 평가하기에는 여전히 이른 감이 있지만 한국을 포함해 캐나다,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에서는 강하게 경기 회복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재정부 관계자는 "최근 광공업 생산이 전기 대비 늘고 외환 보유액도 크게 증가하는 등 각종 경제 지표가 호전되고 있어 5월 CLI 지수는 100선을 넘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현재 정부는 바닥 탈출뿐 만 아니라 경기 과열에도 대비한 전략을 짜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의 물가 상승률은 회원국 가운데 최고 수준으로 나타나 급격한 경기 회복과 맞물려 체계적인 물가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의 4월 소비자 물가(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3.6%로 아이슬란드(11.9%), 멕시코(6.2%), 터키(6.1%), 폴란드(4.2%)에 이어 가장 높았으며 OECD 평균(0.6%)에 무려 6배에 달했다. 반면 아일랜드(-3.5%), 일본(-0.1%), 포르투갈(-0.5%) 등은 오히려 소비자 물가가 떨어졌다.

4월 소비자 물가 가운데 한국의 식품 부문 상승률은 12.2%로 아이슬란드(18.8%)를 제외하고 회원국에서 최고를 기록했다.

인터넷뉴스팀 기자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