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캠퍼스) 글로벌 여풍의 진원지, 새롭게 변화하는 동덕여대

   
 
매력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대학으로 새롭게 변화하는 동덕여자대학교 월곡동 본교 캠퍼스의 본관 전경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도 한국 노동시장엔 여풍(女風)이 거세다. 지난 1분기 20대 고용률은 여성과 남성이 각각 59.3%, 59.2%를 기록했다. 근소한 차이지만 여성이 처음으로 남성을 앞질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런 여풍의 한가운데 인간화 전문화 사회화 세계화를 통해 열린사회로 받돋움하고 있는 동덕여자대학교가 있다.

동덕여대는 지성과 덕성을 고루 갖춘 여성 전문인 양성을 목적으로 특별한 배움, 학생 중심의 서비스로 신뢰받는 대학을 만들기 위해 애쓰고 있다.

동덕여대가 철저한 실용중심 대학임을 강조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동덕여대는 8개 대학 4개 학부 23개 학과 11개 전공 및 대학원과 부속교육 기관을 갖추고 있으며 4년제 대학 최초로 청담동 디자인센터, 대학로 공연예술센터와 같은 특화 캠퍼스도 운영하고 있다. 현장성과 실용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또 국내 대학 최초로 여성학 도서관을 갖추는 등 여성학연구에도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실용성·인성 겸비한 전문인 양성

   
 
 
동덕여대는 다른 대학과의 차별성을 강조하기 위해 '작은 대학, 특화된 대학, 교육 중심 대학, 전문인을 길러내는 실용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동덕여대는 큐레이터과, 청담동 디자인 대학, 혜화동 공연예술대학 등 특화 캠퍼스를 개설했다. 동덕여대가 4년제 대학 최초로 선보인 특화 캠퍼스는 다른 대학에서 벤치마킹하고 있을 정도로 실용교육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동덕여대는 어학과 컴퓨터 등 실용교육을 강화하고 능력개발 특별과정을 개설, 전교생을 프로페셔널한 여성으로 키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렇다고 실용성만 강조하는 것은 아니다. 동덕여대는 최고 교육기관이 담당해야 할 인성교육을 위해 교양 과정의 내실도 충실히 다지고 있다. 동덕여대는 이 과정에서 대학 가운데 최초로 사회봉사과목을 교양필수로 지정했고 학생들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높이기 위해 독서·토론 과목을 활성화했다.

◇배움이 특별한 대학

동덕여대는 '배움이 특별한 대학'이란 별칭도 얻었다. 애정 어린 교육과 감동을 주는 학생서비스가 인정받은 결과다.

동덕여대는 학생들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실용 중심의 교육 여건을 조성하고 유비쿼터스 캠퍼스를 통해 학생 교수 교직원 모두에게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노후한 대학원과 학생회관 건물을 리노베이션해 강의 연구 실습 학생활동에 편리한 공간을 확보했다.

특히 지난 2006년에는 기존 학생회관과 부지를 두 배 가까이 늘려 동아리방 카페 취업정보실 스터디룸 등 학생자치 공간과 복지 및 지원 시설을 마련했다. 학생회관 증·개축 공사는 외부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아 제25회 서울특별시 건축상 리모델링부문 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동덕여대는 교내 캠퍼스를 점진적으로 확충, 개보수해 교내 유비쿼터스 인프라 및 제반시설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동덕 국제교류 장학생

   
 
 
동덕여대는 급변하는 국제사회에 걸맞은 여성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세계와의 소통 폭도 넓히고 있다. 이를 위해 매년 자매대학 교환ㆍ방문학생 및 어학ㆍ문화연수생을 선발해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동덕여대는 특히 해외 자매 대학과 학생 및 학점교환 협정을 맺어 교환·방문학생을 자매대학에 파견하는 해외 교비지원 국제교류프로그램인 '동덕 국제교류 장학생'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매년 약 60여명의 장학생이 해외 연수길에 오른다.

동덕여대는 여름방학을 이용해 미국 호주 중국 프랑스 일본 등 해외 단기 어학연수 및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어학연수와 해외 자원봉사 활동을 병행하는 장학 프로그램 신설도 계획하고 있다.

아울러 교내 '경력개발센터'에서는 회계사 세무사 공무원 교사를 꿈꾸는 학생들을 위한 특별 고시반도 운영하고 있다. 경력개발센터는 공무원 동영상 강의, 영어 말하기 실력 향상을 위한 OPIc(Oral Proficiency Interview-computer) 교육, 자기소개서 클리닉, 모의면접 등으로 이뤄진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성공적인 사회생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정은선 기자 stop1020@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