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은 부대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밀 분석할 수 있는 탄소관리시스템(ACMS)을 군 최초로 개발, 내년부터 전군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육군은 이날 성남 55사단 성남대대에서 임충빈 참모총장과 이병욱 환경부 차관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저탄소 녹색 육군 건설 시범식 교육'을 갖고 ACMS 활용방법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ACMS는 인터넷 웹을 기반으로 한 통계분석 시스템으로, 연료 사용량과 폐기물 발생량 등 탄소 배출원 체계 구축을 위한 각종 기본 정보를 기록·관리할 수 있다.
육군은 이와 함께 수질오염 방지시설을 대폭 확충하는 내용의 저탄소 녹색성장 및 환경정책 추진방향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올해 말까지 전군 1889개소의 오수 처리시설이 민간 위탁관리로 전환되고 20011년까지 낡은 오수처리시설 606개소가 개선된다.
육군은 2015년까지는 지하에 매설된 유류시설을 모두 지상화하고 유류 누수로 토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지하유류탱크 방류조와 자동누유감지기를 설치키로 했다.
태양광 및 풍력 발전설비도 2013년까지 80개소에 확대 설치한다.
부대의 녹지공원화 일환으로 기업이 기부한 나무를 유휴지에 심는 행사인 '에코트리 캠페인'을 도입해 주둔지 내 생태공원 조성을 확대하고 벽면과 옥상에도 녹화사업을 본격 추진키로 했다.
아울러 온실가스를 줄이고자 장병들이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할 10대 과제로 △탄소관리시스템 활용 △차량운행 줄이기 △전기사용량 줄이기 △물사용량 줄이기 △쓰레기 발생량 줄이기 △친환경제품 사용하기 △부대의 녹지공원화 △토양오염 예방 △훈련간 환경보전활동 △환경지킴이 활동 등도 제시됐다.
이밖에 자전거 타기 활성화, 일회용 대신 개인컵 사용하기, 잔반 감량을 위한 빈그릇 운동 포인트제 등의 활동도 전개된다.
아주경제= 이나연 기자 ny@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