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부실기업 부동산으로 버티고 있다"


우리나라 부실기업들이 부동산을 담보로 자금을 조달해가며 버티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금융연구원 이지언 선임연구위원은 18일 금융브리핑에 게재한 '우리나라 부실기업의 특징' 보고서에서 "비금융 상장기업 1천602개 가운데 2008년 기준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은 561개(36%)이고 그 중 289개(18%)는 3년 연속, 82개(5%)는 7년 연속 100%에 미달했다"고 밝혔다.

수년간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에 머문 기업은 주로 통신장비, 미디어, 섬유.의복, 전자장비.부품, IT서비스 등 첨단산업이거나 사양산업이었다.

이 위원은 "부실기업들은 자기자본이익률(ROE)과 총자산이익률(ROA)이 매우 낮고, 수익성과 재무건전성이 퇴출된 기업들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단기 차입금 비중은 7년 연속 부실 기업이 67.8%로, 전체 평균에 비해 33.6%포인트나 높아 유동성 위험에 크게 노출돼있다"며 "그러나 부실기업의 부동산 보유 비중과 증가율은 오히려 높다"고 말했다.

그는 "우량기업은 자산 중 토지.건물의 비중이 일정하지만 부실기업은 대기업일수록 부동산 비중이 높을 뿐 아니라 지난 2006∼2008년에 큰 폭으로 늘렸다"고 전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