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의 부실채권 규모가 약 22조원에 달하며, 이 중 6조3000억원은 회수가 불가능할 전망이다.
19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국내 은행들의 부실채권 규모는 21조원으로 추산된다.
이는 은행들의 기업 여신 총 규모 841조7000억원의 2.5%에 해당하는 규모로, 하반기에 발생할 것으로 보이는 부실채권 9000억원을 더하면 비중은 더욱 상승한다.
한은은 은행들이 기업 구조조정 과정서 6조3000억원은 회수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은행들이 매각해야 할 13조9000억원의 부실채권에 국제결제은행(BIS)의 '부도시 손실률'을 적용하면 이 중 45%는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은은 다만, 이 같은 손실 규모는 은행들의 당기순이익으로 충분히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손실 예상 부실채권 규모가 6조3000억원에 이르지만, 채권 부실화를 대비해 쌓은 충당금이 3조6000억원이므로 실제 최종 손실 규모는 2조7000억원이 된다.
은행들이 올 상반기에만 1조9000억원의 순이익을 올렸기 때문에 연간 순이익을 고려하면 손실 규모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한편 이 같은 부실채권 증가와 추가 손실 발생 등으로 은행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BIS 자기자본비율은 13.74%에서 13.24%로 0.5%포인트 하락할 전망이다. 하지만 세계 30대 은행의 BIS 자기자본비율(지난해 말 기준) 13.14%보다는 높다.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