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국무총리가 '세종시 세일즈'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세종시를 교육·과학중심의 경제도시를 만들기 위한 정부의 밑그림이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은 19일 미국 CCI(C Change Investment) 투자회사와 행복청 및 당시 토지공사가 지난해 11월 '의료과학그린시티' 조성에 관한 MOU를 체결했으며 정부의 구체적인 세종시 지원안이 확정되면 미국 측과 추가협상을 벌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CCI는 미국 최대 연금기금인 '캘퍼스'의 최고 투자책임자였던 러셀 리드가 지난해 설립한 세계적인 투자회사다.
양측이 체결한 MOU에는 의료과학 그린시티를 세종시 내에 790만㎡ 규모로 조성하되 CCI가 투자금액의 30%를 조달하고, 나머지 70%는 국내투자를 통해 모집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CCI는 또 해외 유명 대학이나 병원을 의료과학그린시티로 유치해 의료관광까지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양측은 두 나라를 오가며 몇 차례 실무협의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행복청 관계자는 이에 대해 "미 CCI와 MOU를 체결한 사실은 있으나 이는 기본적인 상호 업무협력 수준의 양해각서일 뿐 구체적인 의료과학그린시티 조성계획까지는 확정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세종시 수정안을 발표할 때 구체적인 입주기업까지 밝힐 것(청와대 관계자)"이라는 발언을 토대로 세종시 기업유치 작업이 상당히 진척됐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다른 정부 관계자도 "충청민들은 어음을 받으려고 하지 않는다"며 "최소한 자기앞수표나 현금을 받으려고 하는데, 아무 것도 없이 수정안을 내놓을 수 있겠나"고 했다.
이 관계자는 "어느 정도 진척됐는지 말하지 않겠다"면서도 "정부부처 간 협의도 잘 진행되고 있고, 애로사항도 없다"며 상당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조원동 세종시 실무기획단장은 이날 세종시 이전기업에 대한 인센티브와 관련, "세종시에 들어올 수 있는 기업들의 요구 조건을 맞춰주는 '맞춤형'이 돼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조 단장은 "세종시 입지조건이 상당히 좋고 관심을 갖는 기업들이 상당히 많아 이런 입지조건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입주 주체들이 나오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러나 마구잡이식 인센티브를 올려주는 것은 생각할 수 없다"고 했다.
다른 지역의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유치기업이 세종시로 옮겨갈 것을 우려하는 데 대해서는 "지금 구상하는 그림은 다른 지역에 전혀 유치된다고 생각하지 않았던 신규라든가 수도권에서 이주해온다든가 아니면 외국 기업체들, 연구기관들"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원형지 개발이 일감을 자기 스스로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대기업에 유리한 측면이 있을 것"이라며 "그렇다고 중소기업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아파트형 공장 같은 경우 굉장히 인기 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아주경제= 이나연 기자 ny@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