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과장급 10여명 수개월째 무보직 대기...조직 축소에 인사 지연 겹쳐

  • 尹 정부 대통령실·장관실에서 근무했거나 교육·파견갔다 복귀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10일 공직선거법 위반 항소심 선고 공판에 참석하기 위해 전주지법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정 장관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과정에서 허위 사실을 공표한 혐의 등으로 기소돼 1심에서 벌금 70만원을 선고 받았다 사진연합뉴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10일 공직선거법 위반 항소심 선고 공판에 참석하기 위해 전주지법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정 장관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과정에서 허위 사실을 공표한 혐의 등으로 기소돼 1심에서 벌금 70만원을 선고받았다. [사진=연합뉴스]
통일부 과장급 인력 10여명이 몇 달째 주어진 업무 없이 대기하고 있다.
 
13일 통일부에 따르면 중간 간부에 해당하는 3·4급 공무원 11명이 길게는 7월 초부터 무보직 상태로 본부 대기 중이다.
 
이들은 대부분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실·장관실 근무자나 교육·파견을 나갔다 복귀한 이들이나 지금은 사라진 한시 조직의 과장들이다. 교육·파견 등으로 매년 무보직 대기자가 소수 나오지만, 정원이 533명에 불과해 상대적으로 작은 부처인 통일부에서 과장 대기자가 11명이나 발생한 것은 이례적이다.
 
이들은 내부적으로 '정책지원 태스크포스'로 불리는 사무실로 매일 출근하고 있지만 주어진 업무 없이 시간을 보내다 퇴근한다고 한다. 대기자의 상당수는 억대 연봉자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상황이 발생한 이유는 2년 전 윤석열 정부 때 조직 축소에 따른 정원 초과 상태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재명 정부 첫 간부 인사의 지연이 겹쳤기 때문이다.
 
현재 통일부 직제상 3·4급 과장 정원은 총 40명 규모인데 현원은 정원을 60% 넘게 초과한 66명이다. 본부와 소속기관 팀장까지 더한 과장급 보직은 총 50여개로, 대통령실 등 파견자를 빼더라도 나머지 10여 명은 갈 자리가 없다.
 
통일부는 과장급의 과도한 대기를 일부 해소하기 위해 15일 공석인 2~3개 직위에 대해 일단 인사를 낼 예정이다. 그러나 지연되고 있는 고위공무원단 인사를 시작으로 인사 적체가 해소되더라도 일부는 대기자로 남을 전망이다. 대기자가 완전히 해소되려면 결국 줄었던 정원이 다시 살아나야 한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윤석열 정부 때 쪼그라든 통일부의 조직 복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행정안전부와 직제 개정을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감축된 정원(81명)을 원상 복구하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