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통일부에 따르면 중간 간부에 해당하는 3·4급 공무원 11명이 길게는 7월 초부터 무보직 상태로 본부 대기 중이다.
이들은 대부분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실·장관실 근무자나 교육·파견을 나갔다 복귀한 이들이나 지금은 사라진 한시 조직의 과장들이다. 교육·파견 등으로 매년 무보직 대기자가 소수 나오지만, 정원이 533명에 불과해 상대적으로 작은 부처인 통일부에서 과장 대기자가 11명이나 발생한 것은 이례적이다.
이들은 내부적으로 '정책지원 태스크포스'로 불리는 사무실로 매일 출근하고 있지만 주어진 업무 없이 시간을 보내다 퇴근한다고 한다. 대기자의 상당수는 억대 연봉자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통일부 직제상 3·4급 과장 정원은 총 40명 규모인데 현원은 정원을 60% 넘게 초과한 66명이다. 본부와 소속기관 팀장까지 더한 과장급 보직은 총 50여개로, 대통령실 등 파견자를 빼더라도 나머지 10여 명은 갈 자리가 없다.
통일부는 과장급의 과도한 대기를 일부 해소하기 위해 15일 공석인 2~3개 직위에 대해 일단 인사를 낼 예정이다. 그러나 지연되고 있는 고위공무원단 인사를 시작으로 인사 적체가 해소되더라도 일부는 대기자로 남을 전망이다. 대기자가 완전히 해소되려면 결국 줄었던 정원이 다시 살아나야 한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윤석열 정부 때 쪼그라든 통일부의 조직 복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행정안전부와 직제 개정을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감축된 정원(81명)을 원상 복구하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