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의 공공주택시장 개방이 수도권 청약시장 판도의 변화 핵(核)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보금자리주택이 수도권 주택분양시장의 일대 변수인 상황에서 정부의 지역우선 공급제도 변경추진은 수도권 주택시장을 뒤흔들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위례신도시와 서울 강남지역의 보금자리주택은 그 지각변동의 시험대다.
22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정부가 서울지역 공공주택의 100% 지역우선공급물량의 경기도, 인천시 무주택자 배정을 추진중이다. 물론 지난 20일 수도권 3개 광역지자체가 참여한 주택정책협의회에서 서울시와 경기도가 우선공급물량을 둘러싸고 이견을 노출, 지역우선공급제 변경추진은 진통 중이다. 그러나 국토부는 3개 지자체 간 양보와 조율을 거쳐 합의를 도출키로 했다.
지역우선공급은 수도권 66만㎡ 이상 공공택지에 들어서는 아파트를 지역 주민들에게 우선 공급하는 장치다. 서울시민에게는 총 공급 주택의 100%를, 수도권 거주자는 30%가 우선 공급된다. 수도권의 나머지 70%는 서울 등 수도권 전체지역주민이 대상이다.
▲경기도민 서울시 진입은 시간문제
현재 서울시는 '지역주민 100% 공급유지'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반면 경기도는 30%대 70%인 지역 및 수도권 간 우선공급비율을 기초지자체와 광역지자체, 수도권(서울 포함)에 각각 30%, 50%, 20%로 변경을 주장하고 있다.
국토부는 현재 서울시와 경기도의 절충안으로 각각 30%, 20%, 50%로 배정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서울시는 서울인구 폭증, 교통문제 등이 우려해 반대한다. 하지만 서울시가 수도권의 광역권 문제를 해결하려면 경기도의 이번 요구를 마냥 묵살할 수 없다. 주변에서는 서울시가 멀지 않은 시기에 경기도 등의 요구를 수용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위례 등 청약 과열 불가피
서울지역 우선공급물량이 개방되면 서울과 수도권의 청약시장은 입지에 따른 수요자 선호도가 크게 달라지고 청약시장도 양극화로 치달을 전망이다. 특히 경기도와 인천시민들의 서울지역 위례신도시, 보금자리 청약이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영 스피드뱅크 팀장은 "지역우선공급비율이 개정된다면 수도권 수요자들이 대거 서울로 유입될 것"이라며 "보금자리주택과 위례신도시, 은평뉴타운 등의 청약 커트라인은 더욱 높아질지게 된다"고 전망했다.
더구나 3기 신도시 등 수도권 대규모 공공택지는 심각한 주택 미달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팀장은 "동탄2신도시, 검단신도시 등 아직 공급이 이뤄지지 않은 3기 신도시의 경우 미분양 아파트가 크게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무주택자 청약 전략 재수립 긴요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대심도 등 수도권 원거리 교통수단, 서울지역 부동산 투기방지 대책 마련 등의 종합대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수도권 무주택자의 청약전략도 일대 수정이 긴요하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연구실장은 "경기도와 인천시 등의 장기가입자는 청약기회가 많아지는 만큼 전략을 수정해 서울지역을 노려볼 만 하다"고 말했다.
반면 "서울지역 청약저축 가입자 약 40만명은 기회가 줄어드는 만큼 생애최초나 신혼부부 등 특별물량을 노릴 필요가 있다"고 함 실장은 덧붙였다.
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jsy@ajnews.co.kr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