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은 한반도 긴장을 완화하려면 미국과 한국이 먼저 북한에 관계 정상화 노력을 제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북한 핵위기가 고조됐던 1994년 평양을 방문해 남북정상회담 약속을 이끌어냈던 인물이다.
카터 전 대통령은 23일 오후 고려대 인촌기념관에서 명예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고서 '핵 보유 북한과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한국과 미국은 어렵더라도 북한과 직접적인 대화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그는 "아무도 평양에서 나올 마지막 답을 예측할 수는 없지만, 직접적인 대화를 포함한 많은 노력을 쏟아붓는 데는 아무런 해가 될 게 없다"며 이 같이 강조했다.
그는 이어 "한국과 미국이 제한 없는 대화를 선제로 해야 북한이 반응할 것"이라며 "북한과 계속 소원한 관계를 유지해서는 안 되는 만큼 정치적 용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지난 1994년 북한이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탈퇴해 제1차 북핵 위기가 불거졌을 때 방북해 김일성 주석과 회담하고 남북정상회담 약속 등을 이끌어냈던 상황을 소개하며 "한반도와 원래 인연이 깊지만 이 때가 가장 깊은 인연을 맺었던 때"라고 평가했다.
그는 "김일성 주석에게 남한으로 먼저 가서 비무장지대를 지나 직접 평양으로 갈 수 있다면 가겠다고 했는데 이를 김일성 주석이 수락했다. 1994년 6월 판문점에서 환영을 받으며 평양으로 향한 것은 44년 만에 처음이었다"고 회고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방북 기간에 있었던 상황도 밝혔다.
그는 "김일성 주석과 북한의 핵 전문가들과 실질적이고 즐거운 대화를 했다"며 "특히 나는 원자력 엔지니어 출신이라 이 문제를 구체적으로 논의할 수 있었는데 김일성이 모든 사안을 깊이 있게 알고 있다는 점이 놀라웠다"고 말했다.
이어 "김일성 주석이 한반도 전체가 핵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는 내 생각에 동의했으며, 김영삼 전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제안한 것을 기쁘게 생각했고 조건 없이 즉각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의 분위기와 관련해 "뿌리깊은 과거에 대한 반감과 선제공격의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다"며 "북한이 지금 상황에서도 뒤로 물러설 가능성이 적다"고 전망했다.
이어 "김일성 주석이 제안한 것을 지키지 않으면 (상황 개선이) 힘들 것"이라며 "미국은 북한에 적대 의사가 없음을 명시하고, 북한은 주변국과 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 핵사찰을 받아들여 미국과 외교 정상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