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우리은행의 실적이 기업 정리 작업이 본격화하는 2분기 이후 큰 폭으로 축소될 전망이다.
우리은행은 현재 16개 그룹의 주채권은행으로 이들 기업의 구조조정 작업이 재개되면 대량의 대손충당금 적립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현재 41개 그룹에 대한 재무약정 여부를 판단하고 있으며, 이들 명단을 이달 중으로 취합해 각 은행들에 알릴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현금흐름비율과 비재무적 지표 등을 평가 기준에 추가하는 등 올해는 지난해보다 엄격한 잣대를 적용할 방침이다.
41개 주채무계열 중 우리은행이 주채권은행인 곳은 16개로 경쟁 은행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국민은행의 주채무계열은 2개이며 신한은행도 4개에 불과하다.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은 우리은행의 절반 수준인 9개.
우리은행이 주채권은행인 기업들이 많기 때문에 국내 은행 중에 가장 많은 기업들과 약정을 맺을 가능성도 높다.
현재 시장에서는 우리은행이 이번 평가 결과를 통해 최소 2곳의 주채무계열과 약정을 맺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약정을 체결하면 은행은 해당 기업의 부실에 대비해 채무규모 만큼의 대손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의 2분기와 3분기 실적이 악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임승주 교보증권 연구원은 "우리은행은 2000년대 중반부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규모를 키우고 기업대출에 적극적으로 나섰기 때문에 부실화된 기업들을 정리할 게 아직 많이 남아 있다"며 "2분기와 3분기는 1분기에 비해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 지난 2000년대 중반 벌였던 규모 경쟁의 부작용이 아직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셈.
실제로 우리은행은 지난 2008년부터 코스닥 등록 법인인 지엔텍 홀딩스에 104억원을 대출해줬다가 이날 이 회사의 상장이 폐지되며 대출금을 허공에 날릴 위험에 놓이는 등 여전히 부실 대출의 여파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대해 임철진 우리은행 여신관리부 부장은 "이들 기업에 대한 대출 규모가 크지 않고 퇴출사들이 가진 공장과 토지 등을 담보로 잡고 있어 손실액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은행의 지난해 4분기 중소기업 연체율은 1.81%로 가계대출 연체율(0.5%)의 3배가 넘는다. 시장에서는 우리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문제가 불거질 경우 지주사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