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하수 기자) LG경제연구원은 "그리스의 재정위기가 유럽의 구조적 문제로 다른 남유럽 국가들로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6일 연구원은 그리스에 대한 유로존과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과 관련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 "세계 경제의 '더블딥' 가능성이 작고 우리나라가 받을 직접적인 영향도 적겠지만, 재정 건전성 문제는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연구원은 "구제금융을 받는 대가로 지난해 13.6%에 달했던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 적자 비율을 2014년까지 3% 미만으로 낮추는 것을 그리스가 제대로 이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이 경우 구제금융 지원이 중단돼 금융 불안이 재연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연구원은 "그리스 다음으로 위기를 겪을 것으로 지목된 포르투갈과 스페인 역시 재정 적자가 많고 저축률이 낮으며 주택 버블, 높은 실업률, 금융 부문의 상호 연관성 등이 문제시되고 있다"며 "남유럽 위기는 유로존의 단일통화체제가 출범할 때부터 안고 있던 태생적 문제점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유럽위원회가 각 회원국의 재정 건전성이 유지되도록 강제할 수단이 없는 데다 단일통화 출범 이후 유로존의 명목 금리는 비슷한 수준으로 수렴했지만, 물가상승률에서 격차가 발생해 남유럽 국가들의 실질 금리가 지나치게 낮아졌고, 이 때문에 부채가 많아질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k19192000@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