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영욱 정경진 기자) '세종시 총리'로 불렸던 정운찬 국무총리가 29일 취임 10개월만에 공식 사퇴함에 따라 그 배경과 후임 인사에 관심이 주목받고 있다.
정 총리는 한나라당이 지난 6·2 지방선거에서 패배한 데 이어 국회 본회의 표결을 통해 결국 수정안이 무산되자 이명박 대통령에게 거듭 사퇴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그는 이 대통령이 사의를 수용하지 않는 상황에서 공식적으로 사퇴표명을 하지 못한 채 공식업무를 수행하면서 청와대의 결정만 기다려 왔다.
이 대통령의 결정이 연기되는 동안 청와대와 총리실은 한동안 정 총리의 사퇴 여부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면서 대립하기도 했다.
양측의 갈등이 봉합된 이후 이 대통령이 정 총리의 사의를 수용하지 않는 것을 놓고 일각에서는 '유임 가능성'도 꾸준히 제기됐다.
세종시 수정안 이외에도 '4대강 사업' 등 현안이 많은 상황에서 이를 맡을 만한 적임자가 마땅치 않은데다, 이 대통령도 정 총리를 감싸는 듯한 행보를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 총리가 세종시 수정에 대한 책임을 강조한데다,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밝힌 점 등을 감안하면 그의 사퇴는 이미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져 왔다.
다만 집권 후반기를 맞는 이 대통령에게 개각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혀주면서 자신도 명예롭게 퇴장할 수 있는 적절한 시점을 기다려 온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이 7·28 재보선에서 승리함으로써 정 총리의 사퇴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여권의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됐다는 점도 그가 사퇴표명을 공식화하게 된 계기가 됐다.
한편 청와대는 정 총리의 사퇴로 후임 총리 인선 작업을 포함한 내각 인적개편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이르면 내달 9, 10일께로 예상됐던 개각이 다소 앞당겨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임태희 대통령실장이 50대 중반의 세대교체형·실무형 인물인 만큼 후임 총리는 60대 이상이면서 국정 경험이 있고 안정감을 주는 인물이 될 전망이다.
김덕룡 대통령 국민통합특보와 이석연 법제처장, 이완구 전 충남지사, 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조무제 전 대법관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일각에서는 친이-친박간 근본적인 화해와 통합을 위해 박근혜 전 대표 총리설이 여전히 나돌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특히 이 대통령은 후임 총리를 통해 지방선거 7.28 재보선의 승기로 국정 장악력을 회복하면서 4대강 정비사업, 친서민 정책 기조, 지방행정체제 개편, 3대 비리 척결 등 주요 국정과제를 힘 있게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통령은 내달 초로 예정된 여름휴가 기간동안 '후임 총리 카드'와 정국 운영구상을 놓고 장고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kyw@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