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민희 기자) 미국 경제에 디플레이션 우려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일본식 장기불황에 대한 얘기가 끊이지 않고 있지만 미국은 일본식 불황으로 치닫지 않을 것이라고 CNN머니가 18일(현지시간) 분석했다.
CNN머니의 칼럼니스트 폴 라모니카는 이날 자신의 칼럼을 통해 이같이 지적하고 일본식 불황과 미국의 경제상황을 비교하는 것은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 경기회복 열쇠를 쥔 노동시장 회복이 여전히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고, 이때문에 소비자들의 지갑이 닫혀 있으며 주택 시장 역시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은 일본의 장기불황 때와 비슷하다.
또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는 장단기 금리를 초저금리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이코노미스트들은 당시 일본과 현 미국 간에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우선 미국은 일본처럼 인구에서 은퇴한 노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다.
증권사 브록하우스 쿠퍼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일본내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1990~2008년 기간 중 2배 가까이 급증했다. 반면 미국에서는 고령인구 비율에 큰 변화가 없었다.
미국의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면서 은퇴 노년층이 급격하게 늘었지만 출산율 상승과 이민 증가로 전체 인구 또한 동반 증가세를 타면서 노년층의 비중이 급격히 상승하지 않았다.
통상 젊은층의 소비가 더 왕성하기 때문에 이는 중요한 변수가 된다고 라모니카는 지적했다.
브록하우스 쿠퍼의 알렉스 벨플러는 "인구구성이 미국과 일본 간 큰 차이점이다. 일본의 고령화는 경기침체를 부른 주 원인 가운데 하나였다"고 지적하고 "고령층은 젊은층과 달리 주택, 자동차, 기타 내구재 등 덩치가 큰 제품에 대한 소비성향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소비성향 차이와 함께 정부의 연금지급 등 재정압박 요인에서도 큰 차이가 난다.
고령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수록 연금, 복지비용 지출이 높아져 정부 재정적자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 정부의 재정압박이 '잃어버린 10년' 당시의 일본 정부에 비해 현격히 낮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인구 구성 차이 외에 일본의 장기불황을 몰고 왔던 은행부문 취약성이 미국에서는 조기에 해소됐다는 점도 이코노미스트들은 지적하고 있다.
담보로 잡고 있던 부동산 가격이 폭락하면서 파산 위기에 몰려 경제와 정부 재정에 오랫동안 큰 부담이 됐던 일본은행들과 달리 미국 은행들은 역시 부동산 경기 침체에서 비롯된 이번 금융위기를 성공적으로 헤쳐나와 다시 자리를 잡는데 성공했다.
라모니카는 디플레이션 우려가 완전히 가신 것은 아니지만 지난주 이후 발표되는 물가지표는 디플레이션이 눈앞에 닥친 것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일본식 불황을 논하는 것은 아직 시기상조라고 강조했다.
pauline@ajnews.co.kr[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