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민주당 당권에 재도전장을 낸 정세균 후보는 불과 1주일 앞으로 다가온 이번 전대를 이같이 규정했다. 지금 민주당이 갖고 있는 힘만으론 정권교체를 장담키 어려운 상황인 만큼 ‘통 큰’ 연대 속에서 치열한 경쟁을 거쳐 차기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후보를 내놔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당 대표를 발판으로 삼아 대권후보가 되겠다는 욕심으로는 판을 키울 수 없다. 진심으로 당의 경쟁력을 높일 당 대표가 필요하다.”
정 후보는 26일 아주경제와 만난 자리에서 “민주당을 수권정당으로 만들고 정권교체까지 이뤄내는 대표가 되고 싶다는 점은 과거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며 이같이 전했다. 다만 그는 과거와 현재를 비교할 때 자신은 물론, 당의 상황과 역할이 다름을 당권에 재도전케 된 배경으로 꼽았다.
“2008년에 대표를 맡았을 때 민주당은 ‘한 지붕 네 가족’으로 분열돼 있었고 지지율도 10%대에 머물렀다. 지방선거, 대선, 총선에서 연이어 참패함으로써 패배주의에 휩싸였던 거다. 어떻게든 당을 통합하고 패배의 사슬을 끊는 것이 대표의 역할이었다.”
정 후보는 민주당이 지난 2년간 재·보궐선거와 지방선거 승리를 토대로 기초체력을 회복했고 2012년 총선승리와 정권교체의 희망을 일궜다고 자평했다. “이제 민주당의 큰 변화를 통해 그 희망을 실현하는 것이 대표의 역할이며 그런 대표가 되고자 한다”는 것이다.
정 후보는 “민주당은 지금 작은 성과에 안주해 그럭저럭 가는 정당으로 남느냐, 아니면 더 큰 변화를 통해 정권교체로 나아갈 수 있느냐의 갈림길에 있다”고 전했다.
정 후보는 ‘민주주의·민생·평화의 제자리 돌려놓기’를 민주당이 가져가야 할 18대 국회의 후반기 과제로 제시했다.
그는 “이명박 정부는 임기 절반을 넘기면서 모든 것을 거꾸로 되돌렸을 뿐만 아니라 평화와 민주주의를 짓밟고 민생과 복지를 후퇴시켰다”며 “서민들의 기회와 희망을 빼앗았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4대강 사업으로 자연과 생명을 죽어가게 만들었고, 고위층 자녀 특혜 채용 등 반칙과 특권을 일삼으면서 말로만 ‘공정사회’를 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후보는 “공정사회는 반드시 필요하나, 이 정권은 ‘콩으로 메주를 쑨다’고 해도 국민이 믿지 않을 것”이라며 이명박 대통령이 집권 후반기 국정운영 기조로 제시한 ‘공정사회’가 결국 사정정국, 공안정국으로 가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나타내기도 했다.
“전두환 정권 시절에도 그랬다. 말로는 ‘정의사회 구현’이라고 했지만 실은 ‘독재사회 구현’이었다. 공정사회가 ‘제2의 정의사회 구현’이 돼선 안 된다. 믿음이 없으면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
정 후보는 최근 일부 지역 시·도당위원장 경선에서 자파 인사들이 대거 탈락한 것과 관련, 이번 전대 구도가 ‘정세균 대 반(反)정세균’으로 가는 게 아니냐는 지적엔 “시·도당위원장을 ‘편 가르기’ 하는 건 사실과도 맞지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선을 그은 뒤, “경쟁이 과열되다보니 시·도당대회에서 불필요한 대결구도가 만들어진 측면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민주당이 ‘서민정당’ 이미지를 한나라당의 ‘친서민 정책’에 빼앗기고 있다는 평가엔 “(한나라당의 ‘친서민’이) 국면전환용 이벤트임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며 “민주당은 지금껏 약자 편에 서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더 서민적이고, 더 진보적이고, 더 민주적인 정당이 되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요즘 이른 아침에 응원메시지를 받으면 기분이 좋다는 그는 ‘이른 시간에 내 생각을 해주는 사람이 있구나‘ 생각하면 하루의 출발에 힘이 나고 이는 결국 전대에 임하는 자세에 그대로 녹아든단다.
“응원의 뜻대로 내가 민주당의 2012년 (대선) 승리를 견인한다면 개인적 정치 인생에도 새로운 전기가 되지 않겠나.”
force4335@ajnews.co.kr[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