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희준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해외교환사채에 대한 환위험 관리 미비로 5000억원에 가까운 환차손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력수요 관리사업의 부적절한 운영으로 5000억원 이상의 발전소 건설비용이 추가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은 지난 5월 3일부터 19일까지 한전에 대한 재무감사 결과 이 같은 내용을 적발했다고 30일 밝혔다.
감사원에 따르면 전력공사는 2006년 11월 정부가 소유한 자사 주식 1890만주의 매입 자금 마련을 위해 9627억원 상당의 엔화 및 유로화의 해외교환사채를 발행한 뒤 지난해 11월 이를 대부분 상환했다.
이 과정에서 전력공사는 만기 이전 조기상환시 환위험에 노출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금액 전체를 환위험에 노출시켰다.
그 결과 공사는 발행 당시보다 환율이 엔화는 63.2%, 유로화는 43.5% 상승한 2009년 11월 23일 투자자가 발행가액의 95.1%에 대한 조기상환청구권을 행사하는 바람에 원화 1조4715억원을 상환, 4968억원의 외환차손을 입었다.
또한 공사는 전력수요 관리사업하며 지난해 총 13일간만 사업을 시행하는 등 매년 여름철 특정기간만 사업을 실시해 이에 따라 지난해 연말 공급예비율이 6.7%까지 떨어지는 등 전력수급이 불안정하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추가 전력이 필요해 5197억원의 발전소 건설비용이 유발됐다다고 감사원은 밝혔다.
이외에도 감사원은 독성 물질인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s)이 함유된 폐 변압기를 전문 폐기물처리업체에 위탁해 처리하면서 이 과정에서 나오는 구리 등의 매각 업무를 소홀히해 78억9000만원의 매각 수익을 상실했다고 언급했다.
이에 감사원은 환차손 피해 등 적발사항을 해당부서에 통보하고 이에 대한 철저한 업무처리를 요구했다.
h9913@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