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준혁 기자) 30일 서울시가 오는 2014년에 중국 관광객을 연간 500만명 유치한다는 목표로 관광·숙박시설 확충과 비자제도의 개선을 비롯한 특별 대책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숙박시설 부족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와 공동으로 다음 달까지 특별대책을 마련한 이후 숙박시설 확충과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조기 제정해 2014년까지 관광호텔 1만6000실을 늘린다.
특별법에는 ▲호텔시설 용적률 ▲주차장 설치 기준 완화 ▲주택·호텔 복합 건설기준 완화 ▲국공유지 매각특례 등 민간호텔 건립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또한 외국인이 사용하기 적절하지 않은 여관 등은 중저가 숙박시설인 '이노스텔'로 전환을 유도하고, 내년부터는 민간 여행사와 함께 이노스텔 이용 관광상품도 개발해 운영한다.
중국 관광객의 최대 불만 사항인 음식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는 식당 100곳을 '서울형 관광식당'으로 지정하고 이를 2014년까지 180개소 수준으로 늘리는 방안도 추진한다.
또한 '중국어 관광통역안내사'를 4500명 확보를 위해 ▲현재 시행 중인 '임시 자격증 제도'의 1년 연장 ▲중국 가이드 매뉴얼 보급 ▲'서울관광 스페셜리스트' 제도 도입 등의 방안도 추진한다. 더불어 서울시 관광안내 인원도 300명에서 2014년 1300명까지 늘리고, 지역 별 관광안내소도 현 14개소에서 2014년 30개소로 확대하는 계획도 추진한다.
중국 현지인 관심을 끌고자 동부 연안은 물론 내륙 중소 도시도 광고·프로모션·언론인팸투어 등의 마케팅 활동을 펼친고, 특히 중국인 '큰 손' 관광객 10만명을 끌어오기 위해 민간 여행사와 공동으로 문화·관광명소, 백화점, 서울형 산업 등이 결합된 관광 상품을 개발하기로 했다.
이해우 서울시 문화관광디자인본부 관광과장은 "시는 지난 4년 간 중국인 단체관광객 비자서류의 간소화 및 중산층·청년층 대상 비자제도 개선 등을 실시했고 민간 관광호텔 건립 활성화를 추진해, 올해 1~8월 중국관광객은 126만명으로 작년보다 44.5% 늘었다. 특히 8월에는 비자제도 변경으로 작년보다 50.8% 많은 24만명이 서울을 찾았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시는 10월 1~9일 중국 국경일 연휴를 겨냥해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개발하고 숙박편의를 개선하는 등 단기대책도 마련했다. 중장기적으로 정부와 협의해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무비자제도를 도입하고 동남아 관광객은 비자서류를 줄여주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이런 대책을 추진하고자 다음달 초 본청 관광과 안에 '중국관광객 유치전담팀'을 구성하고 9월에 신설된 '중화권관광객 유치 특별위원회'를 통해 민·관 공조방안도 적극 강구하기로 했다.
leejh@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