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역대 노벨 화학상 수상자 명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10-06 19:5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인터넷뉴스팀 기자) 2010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금속 촉매를 이용해 복잡한 유기화합물 합성 기술을 개발, 신약개발 등에 기여한 미국의 리처드 F. 헤크와 일본의 네기시 에이이치, 스즈키 아키라 등 3명이 선정됐다.

다음은 1996년 이후 노벨화학상 수상자와 수상 업적이다.

   ▲2010년: 리처드 F. 헤크(미국), 네기시 에이이치, 스즈키 아키라(이상 일본)
    = 금속 촉매를 이용한 복잡한 유기화합물 합성 기술에 대한 연구
    ▲2009년: 아다 요나트(이스라엘),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토머스 스타이츠(이상 미국)
    = 세포 내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
    ▲2008년: 마틴 샬피, 로저 시앤(이상 미국), 시모무라 오사무(일본)
    = 녹색 형광단백질의 발견과 응용 연구.

   ▲2007년: 게르하르트 에르틀(독일)
    = 철이 녹스는 원인과 연료전지의 기능방식, 자동차 촉매제 작용 원리 이해에 기여.

   ▲2006년: 로저 D. 콘버그(미국)
    = 진핵생물의 유전정보가 복사돼 전달되는 과정을 분자수준에서 규명.

   ▲2005년: 로버트 그럽스. 리처드 슈록(이상 미국), 이브 쇼뱅(프랑스)
    =유기합성의 복분해(複分解) 방법 개발 공로.

   ▲2004년: 아론 치카노베르, 아브람 헤르슈코(이상 이스라엘), 어윈 로즈(미국).

   = 단백질 분해과정을 규명, 난치병 치료에 기여.

   ▲2003년: 피터 에이거, 로더릭 머키넌(이상 미국).

   = 세포막 내 수분과 이온 통로 발견, 인체 세포로 수분과 이온이 왕래하는 현상을 규명.

   ▲2002년: 존 펜(미국), 다나카 고이치(일본), 쿠르트 뷔트리히(스위스).

   =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 분자의 질량과 3차원 구조를 알아내는 방법을 개발.

   ▲2001년: 윌리엄 S. 놀즈, K. 배리 샤플리스(이상 미국), 노요리 료지(일본).

   = 화학반응에서 광학 이성질체 중 하나만 합성할 수 있는 광학활성촉매를 개발, 심장병, 파킨슨병 등 치료제 개발에 공헌.

   ▲2000년: 앨런 히거, 앨런 맥더미드(이상 미국), 시라카와 히데키(일본).

   = 플라스틱도 금속처럼 전기 전도가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실제로 전도성 고분자를 발명.

   ▲1999년: 아메드 즈웨일(미국).

   = 초고속 레이저광원을 이용, 분자 화학반응의 중간과정 관측에 성공.

   ▲1998년: 월터 콘(미국).

   = 양자 화학에서 밀도 범함수(汎函數)의 새 이론 개발.

   존 포플(영국).

   = 양자 화학의 계산법인 'CNDO법' 등 개발.

   ▲1997년: 폴 보이어(미국), 옌스 스코우(덴마크), 존 워커(영국).

   = 생체 내 에너지원인 ATP(아데노신 3인산) 관련 효소의 작용 기구 해명.

   ▲1996년: 로버트 컬, 리처드 스몰리(이상 미국), 해럴드 크로토(영국).

   = 탄소원자 60개로 구성된 축구공 모양의 탄소분자 '버키볼' 발견, 초전도·재료 과학의 신분야 개척.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