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난이 심화되면서 학생들이 학점 관리에 각별히 신경 쓴 탓도 있지만 일부 대학들이 고학점을 남발하는 경향도 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21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임해규 한나라당 의원이 서울지역 주요 대학 2009년 졸업생 졸업학점을 분석한 결과 동국대는 졸업생의 57.6%가 A학점자였다. 이화여대(56.8%), 건국대, 서울대, 숙명여대(이상 53.3%), 경희대(51%)도 A학점자 비율이 절반 이상에 달했다. 고려대(46.7%), 성균관대(41.15)도 A학점 졸업생이 많았다.
실제로 A학점자 비율은 최근 10년 새 2~3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양대 A학점자 비율은 2000년 9.27%에서 2009년엔 27.9%로 3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앙대(보정비율)는 2.44%→4.92%로 배 정도 늘었다. 경희대도 39.6%에서 51%로 크게 늘었다.
임해규 의원은 "대학들이 졸업후 사회에 내보낼 때 최소한의 질 관리나 학사 관리조차 하지 않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shu@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